‘들쑥날쑥’ 신재생 발전량, 통합관제시스템 만든다

‘들쑥날쑥’ 신재생 발전량, 통합관제시스템 만든다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7-09-19 22:24
수정 2017-09-19 22: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3~6시간 단위 등 발전량 예측 제어

올 제주 시범 구축… 2020년 가동
“신재생 20% 위해 보조 설비 필요”

구름과 바람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신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간헐성) 전력 출력에 대비하기 위해 발전량을 예측 제어하는 통합관제시스템이 2020년부터 본격 가동된다.

전력거래소는 19일 민간 자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신재생 워킹그룹’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 관련 ‘신재생 간헐성 대응방안’을 잠정 확정했다.

워킹그룹은 2030년까지 현행 5% 수준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로 확대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의 안정적인 전기 출력에 대비한 백업 설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빠르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속양수발전소,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발전소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신재생 발전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계측하며 출력 급변 시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을 올해 말까지 제주 등에 시범 구축하기로 했다. 워킹그룹 관계자는 “내년부터 2년간 시험 운영한 뒤 신재생에너지가 대폭 확대되는 2020년 이후에는 본격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재생 통합관제시스템은 사업자가 발전단지별 풍속, 일사량 등 기상예보를 토대로 발전량을 예측해 제출하면 전국·지역 단위 관제시스템에서 3~6시간, 48시간 내외, 주간·월간 단위로 이런 정보를 종합해 발전량을 예측 분석하는 것이다. 실시간 출력 조절이 가능한 LNG,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유연성 설비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 위해 인센티브를 주거나 이런 설비 보유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워킹그룹은 설명했다.

워킹그룹 관계자는 “스페인, 독일 등 신재생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발전량의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불안정한 출력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활용 중”이라며 “백업 설비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을 위한 제도 개선과 관제 기능 강화도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9-20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31년 만에 만난 ‘KIA vs 삼성’
프로야구 최고의 명문이자 라이벌인 KIA와 삼성이 무려 31년 만에 한국시리즈 맞대결을 펼칩니다. 호랑이와 사자 군단의 격돌, 당신이 예상하는 우승팀은?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