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체제위협 요인 증대, 돌발사태 가능성 상승”

“北 체제위협 요인 증대, 돌발사태 가능성 상승”

입력 2015-02-25 10:03
수정 2015-02-25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북한 지도부 마비시 무정부상태 도래 가능성”

최근 북한에서 체제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늘어나 돌발사태 발발과 이에 따른 무정부 상태가 올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진하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센터 소장은 25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통일연구원이 연 전문가 토론회에서 발제를 통해 “현재 북한은 김정은 승계 이후 엘리트 권력 집단 간 세력균형과 수령제의 유습, 그리고 특권분배로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며 “체제 안정성 위협 요인의 증대로 돌발사태 가능성이 상승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북한 체제 위협 요인으로 ▲ 특권 및 이권 분배를 제도적으로 조율할 기제의 미비 ▲ 지도자의 자질 문제 ▲ 핵무기 개발정책 및 모험적 군사주의가 초래한 국제적 봉쇄상태 ▲ 非사회주의 외래사조 및 정보 유입 ▲ 빈번하고 잔혹한 숙청이 초래한 체제증오 증대 등을 들었다.

김 소장은 “북한 지도부 마비 시 위기 상황을 집단지도체제의 안착 및 당 주도 점진적 개혁 실천 등 제도적으로 안정된 방식으로 극복할 가능성은 낮다”며 “엘리트 세력 간 극단 대립 및 주민의 축적된 불만의 일시적 분출로 무정부 상태가 도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북한 급변사태에 대비한 계획 수립을 강조하며 “북한 내 이행주도세력(민주주의·시장화 개혁 추진세력)의 존립은 체제의 전면적·안정적 이행 프로그램 실현의 전제조건”이라며 “이들에 대한 친(親) 남한화를 통한 효과적 이행 및 통일친화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병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만약 북한 정권이 자발적으로 이행(移行)을 시도한다면 사회주의식 정치체제를 유지하면서 자본주의 경제체제로 점진적으로 이행을 시도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중국의 경험을 본받아 계획과 시장이 구조적으로 양립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북한 경제 변혁기의 대북정책 목표로 “북한의 체제이행 초기에는 경제통합 정책을 전반적으로 시행하기보다 빈곤 구제와 기술적 지원, 인적 교류 등에 집중해야 한다”며 “경제특구를 추가로 조성할 경우 국제적 관리 기구에 권한을 위임하거나 중앙정부의 직접 통제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31년 만에 만난 ‘KIA vs 삼성’
프로야구 최고의 명문이자 라이벌인 KIA와 삼성이 무려 31년 만에 한국시리즈 맞대결을 펼칩니다. 호랑이와 사자 군단의 격돌, 당신이 예상하는 우승팀은?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