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서동철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서동철 기자입니다.
주간 많이 본 뉴스
최신 뉴스
  • 환상이 사라진 ‘대통령 유적’의 고민

    환상이 사라진 ‘대통령 유적’의 고민

    지난 주말 ‘대청호 두루봉 물빛축제’가 열린 청주 문의를 찾았다. 무대가 면소재지인 미천리의 문의향교 앞 사거리에 당당하게 마련된 것은 이 작은 마을축제에 거는 주민들의 기대가 반영됐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무대에서 대청호로 이어지는 거리에는 난장이 펼쳐졌으니 잔치 분위기는 제대로 났다.문의는 조선시대 충주목
  • 옹주의 화장 욕심

    옹주의 화장 욕심

    조선왕조실록에는 “화협옹주방(房)에서 각전(各廛)에 외상을 진 것이 매우 많다. 현목(玄木·무명) 20동을 보내 즉시 갚는 게 좋겠다”는 이정 당상 박문수의 진언이 나온다. 그러자 영조는 “현목 55동을 보내라”고 명했다. 무명 1동(同)은 50필이다. 그러니 영조는 무려 2750필에 이르는 무명을 외상값 갚는
  • 느닷없는 교훈

    느닷없는 교훈

    잡담을 나누다 보면 가끔 “무슨 차를 타느냐”고 묻는 사람이 있다. 가까운 친구라면 “아직도 그런 차를 타느냐”고 대놓고 비웃는다. 체면치레를 해야 하는 사람은 “자동차 관리를 잘해서 오래 타시나 보다”라고 하지만 그 말이 그 말이다. 나는 “장점이 많아. 무엇보다 이 차를 타고 다니면 돈 빌려 달라는 사람이 없
  • 이름 새기기(題名)

    이름 새기기(題名)

    안토니오 가우디의 걸작인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을 구경한 것은 1992년이었다. 1882년 착공해 2026년 완성될 예정이라는 성당은 공사가 한창이었다. 하지만 다 짓지도 않은 성당 건물의 계단은 낙서 천지였다. 온갖 나라 사람의 이름이 보였는데 한국인의 그것도 적지 않았던 기억이 난다.명승
  • 한명회 묘지(墓誌)의 불행

    한명회 묘지(墓誌)의 불행

    묘지(墓誌)는 무덤에 잠든 사람의 이름과 행적을 기록한 껴묻거리다. 지석(誌石)이나 묘지석(墓誌石)이라는 다른 이름처럼 돌에 새기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조선시대에는 사기판에 죽은 이의 일생을 적어 구운 묘지가 유행했다.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가장 오래된 묘지는 공주 무령왕릉의 백제시대 것이다. 523년에 죽은 무령
  • “나만의 바흐·베토벤에 눈떠… 바이올린 교육 이성주파 세워야죠”

    “나만의 바흐·베토벤에 눈떠… 바이올린 교육 이성주파 세워야죠”

    갈라미언 교수에 연주 테이프 보내중2 때 도미, 김남윤·강동석과 배워1972년 뉴욕 콩쿠르 우승하며 두각시벨리우스·차이콥스키 대회 수상故 이강숙 한예종 총장 설득에 끌려국제 무대 접고 1994년 교수로 부임사재 털어 제자들과 실내악단 조직사운드 트레이닝 통해 음악적 소통딜레이·갈라미언 스승의 장점 통합두 분 교육
  • 음악가와 개성

    음악가와 개성

    음악가가 실력만 좋으면 됐지 겉모습이 무슨 상관이냐고 하지만 세상이 꼭 그렇게 돌아가지는 않는 것 같다. 오히려 개성이 없으면 연주자로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 상식이 됐다. 한국을 대표하는 1세대 연주자들도 실력은 물론 스타성을 끌어올리는 뭔가가 있었다.정경화는 ‘바이올린의 암호랑이’라 불릴 만큼 표정에서부터 연
  • 고선사와 원효대사

    고선사와 원효대사

    ‘삼국유사’에는 원효(617~686)에게 가르침을 준 고승이 여럿 등장한다. 사복(蛇輻)도 그런 인물 중 하나다. 원효가 고선사에 주석하던 시절 사복의 어머니를 장사 지내며 “세상에 나지 말 것이니 그 죽는 것이 괴로우니라. 죽지 말 것이니 세상에 나는 것이 괴로우니라”라고 했다. 그러자 사복은 “말이 너무 번거
  • 현무-5

    현무-5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수장 하산 나스랄라는 지하 60피트(18.28m) 벙커에 머물고 있었다. 이스라엘은 벙커버스터 BLU-109를 F-16 전폭기로 투하해 지하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나스랄라의 시신은 아무런 외부 상처가 없는 상태로 발견됐다고 한다. 폭발 충격에 따른 흉부 압박으로 보인다는 소견
  • ‘음식문화 빼앗기’ 아우성, 그렇게 자신이 없나

    ‘음식문화 빼앗기’ 아우성, 그렇게 자신이 없나

    얼마 전 끝난 TV 프로그램 ‘서진뚝배기’를 재미있게 봤다. 세계적 인기를 쌓은 문화 콘텐츠의 주역들이 아이슬란드에서 식당을 열어 한국 음식을 파는 프로그램이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가 일상화된 시대 추운 나라 사람들에게 음식의 온기를 오래 보존하는 한국의 뚝배기 문화는 지혜롭게 느껴졌을 것이다. 겨울이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