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구제역 창궐’ 알고도 방역소홀 피해 키웠다

전세계 ‘구제역 창궐’ 알고도 방역소홀 피해 키웠다

입력 2010-12-07 00:00
수정 2010-12-07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올해 19개국 426건 발생… 작년보다 3배 급증

‘구제역 공포’가 안동을 중심으로 경북 지역에 급속히 퍼진 가운데 올해 전세계에서 새로 보고된 구제역이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늘어나는 등 크게 유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규 발생 구제역 10건 중 9건 이상이 아시아지역에 집중됐다. ‘에피데믹’(epidemic·지역적으로 전염병이 창궐한 상태)에 들어섰다는 의미로 지난 6월 강화발(發) 구제역에 대한 종식선언 이후에도 재유입 가능성이 컸다는 얘기다. 우리 방역 당국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도 선제적 대응 노력을 게을리해 바이러스에 역습당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6일 세계동물보건기구(OIE)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새로 발생해 즉시 신고된 구제역은 우리나라 등 19개국에서 모두 426건이 보고됐다. 지난해(17개국 138건)보다 3배 넘게 늘어난 수치다. 아프리카 일부 국가 등 구제역이 일상적으로 발병하는 곳은 새로 보고하지 않아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올해는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아시아국이 OIE에 신고한 구제역 발병사례가 모두 395건으로, 전체의 92.7%에 달했다. 중국, 몽골 등 국토가 넓은 국가는 전염병이 돌아도 신고를 미루는 일이 잦아 실제 발병 사례는 집계된 것보다 훨씬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5년간 구제역 발병국 수가 계속 늘어온 것도 눈에 띈다. 바이러스의 국가 간 이동이 그만큼 활발해졌다는 얘기다. 2005년 9개국에서 74건이 접수됐던 구제역은 2006년 14개국 195건, 2007년 17개국 162건, 2008년 18개국 129건 등으로 늘었다. 구제역 탓에 죽거나 살처분된 우제류(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는 2005년 2만 9702마리에서 2010년 27만여마리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전문가들은 국가 사이의 인적 이동이 활발해지고 축산물 등 교역이 확대되면서 특정 국가에만 머물던 구제역 바이러스가 세계 곳곳에 퍼져 창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기석(수의학) 경북대 교수는 “구제역이 유행기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면서 “세계를 ‘하루 생활권’으로 만든 교통의 발달이 바이러스를 급격히 퍼뜨리는 촉매제가 됐다.”고 말했다.

우리 방역당국도 지난 6월 내놓은 ‘2010년 구제역 역학조사·분석 보고서’에서 9월 이후 구제역이 재유입될 가능성을 점쳤다. 바이러스가 겨울 날씨에서는 100일 가까이 생존하는 데다 중국과 일본, 베트남 등 주변국에서 전염병이 창궐하고 있다는 점 등을 토대로 내린 분석이다. 이 때문에 지난 9~11월을 ‘구제역 특별 방역 기간’으로 삼고 소독과 예찰 등을 강화했으나 바이러스는 이러한 노력을 비웃듯 방역망을 뚫고 다시 국내로 들어왔다.

특히 국경 검역망에 구멍이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농식품부가 특별기간 동안 외국인 근로자와 국외여행을 다녀온 농장주의 농장 출입금지를 유도하는 등 대책을 내놓았으나 구제역을 옮긴 것으로 의심되는 안동 지역의 한 농장주는 지난달 3~7일 구제역 창궐국인 베트남을 다녀온 뒤 곧장 농장에 출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의과학검역원 측은 “구제역의 국내 유입 때에는 매뉴얼에 따라 체계적 방역을 실시한다.”면서도 “그러나 주변국에서 바이러스가 돌면 여행자에게 주의를 당부하고 검역을 강화하는 정도다. 중국, 베트남 등에서 1년 내내 구제역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매뉴얼을 따로 만들기 어렵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구제역뿐 아니라 국내에서 찾아보기 어렵던 블루텅병 등 1종 전염병이 성긴 망역망을 뚫고 언제든 국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점이다. 블루텅병은 폐사율이 30%에 이르는 바이러스성 가축전염병으로 올해 영국 등 유럽 각지에서 3700여건이 신규 발생했다. 김 교수는 “구제역도 문제지만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등 치명적인 인수(人獸)공통전염병이 유입되면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가축전염병을 퍼뜨리는 매개체는 대부분 축산업 관계자로 드러난 만큼 이들에 대한 맞춤형 검역과 지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영수(수의학) 건국대 교수는 “예컨대 해외에서 구제역에 노출됐던 농장주가 바이러스를 국내 농가에 옮길 가능성이 100분의1이라면 일반인이 바이러스를 퍼뜨릴 확률은 1억분의1 수준”이라면서 “농축산업 종사자에 대한 해외 출입국 기록을 좀 더 엄격히 관리하는 등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12-07 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31년 만에 만난 ‘KIA vs 삼성’
프로야구 최고의 명문이자 라이벌인 KIA와 삼성이 무려 31년 만에 한국시리즈 맞대결을 펼칩니다. 호랑이와 사자 군단의 격돌, 당신이 예상하는 우승팀은?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