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팡질팡 국정-교육정책] 도돌이표 고교내신

[갈팡질팡 국정-교육정책] 도돌이표 고교내신

입력 2011-12-14 00:00
수정 2011-12-14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성적 부풀리기에 고교등급제 논란에

우리 대입제도에서 내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981년부터다. 이전까지는 지금의 대입 수학능력시험과 비슷한 예비고사와 대학별 본고사로만 대학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러다 예비고사가 학력고사로 바뀌면서 고교 내신을 30% 이상 반영하도록 했다. 처음 등장한 내신은 상대평가 방식이었다. 학년마다 문과·이과 계열과 전체 석차에 따라 15등급을 차등 부과하는 방식이었다. 1997년부터는 절대평가에 상대평가 요소가 더해졌다. 수·우·미·양·가의 과목별 성취도와 과목별 석차가 병행돼 사용됐다. 반면 전체 석차는 없어졌다. 하지만 더 많은 학생을 대학에 보내기 위해 쉬운 문제를 내고, 동석차를 양산하는 이른바 ‘성적 부풀리기’가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대학들은 내신성적을 믿을 수 없다면서 입학전형에서 내신 반영률을 줄이는 등 일대 혼란이 일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부터 9등급의 상대평가가 도입됐다. 과목별 석차에 따라 9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었다. 과목별 평균과 표준점수 등 원점수 표기도 병행했다. 하지만 상대평가제도에서도 내신이 문제가 됐다. 이른바 학교등급제 논란이 그것이다. 서울 강남의 고교에서 1등 하는 학생과 시골 고교의 1등에게 대입에서 같은 내신 점수를 줄 수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고려대 등 일부 대학이 입시에서 교과 성적을 과목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사용한 변환점수를 적용해 고교 등급제 논란을 불러오기도 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12-14 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31년 만에 만난 ‘KIA vs 삼성’
프로야구 최고의 명문이자 라이벌인 KIA와 삼성이 무려 31년 만에 한국시리즈 맞대결을 펼칩니다. 호랑이와 사자 군단의 격돌, 당신이 예상하는 우승팀은?
KIA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