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와 농성으로 어수선했던 외환은행과 SC제일은행이 최근 서로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외환은행은 매각 반대 시위를 하느라 약화된 영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뭉쳤고, 제일은행 노조는 업무 복귀 뒤에도 하루짜리 파업을 잇따라 열고 특정 상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태업을 검토하고 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2일 “하나금융과 론스타가 외환은행 인수 계약을 맺은 뒤 지난 5월까지 반 년 동안 진행된 매각 반대 시위 때문에 은행의 영업력이 흐트러졌던 게 사실”이라면서 “지금은 영업력을 회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은행에서는 5월에 영업점마다 붙어 있던 투쟁 현수막이 사라졌고, 7월에는 직원들이 입고 있던 붉은색 투쟁복이 흰색 근무복으로 교체됐다. 9월 중 외환은행 매각 방향을 결정할 법원 판결이 나올 예정이지만 일부 노조원이 출근 시간에 피켓시위를 하는 것 외에 낮 동안은 시위를 중단한 상태다.
영업력 강화 시도는 금리 정책에서 단적으로 드러났다. 이 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최고 4.6%로 은행권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시중 은행의 가계 대출 중단 움직임에도 동참하지 않았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한 번 떠난 고객을 돌리기는 쉽지 않다.”며 신뢰 회복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반면 지난달 29일 강원도 속초에서 66일간의 총파업을 마치고 복귀한 제일은행 노조는 사측과의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지난달 31일 하루짜리 파업을 단행했다. 서울 종로구 관철동에서 열린 당시 집회에는 총파업 때보다 700여명 줄어든 1900여명이 참여했다. 이에 노조 측은 “사측이 파업에 참여하면 영업점 복귀를 금지하겠다고 노조원을 회유했다.”면서 “노동법 위반 혐의로 사측을 고소하겠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오는 15일에도 파업할 예정이다.
사측은 “노조가 장기간의 파업 과정에서 이탈한 100여명에 대해 협박을 하고 있다.”고 맞섰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9-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