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日감정 반사이익도
현대기아차가 중국 시장에서 랑동(아반떼급의 현지 전략형 모델)과 K3 등 준중형 신차의 판매 호조로 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했다.24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지난 11월까지 현대차와 기아차는 모두 119만 8194대를 판매, 시장 점유율 10.4%를 기록하면서 폴크스바겐과 GM에 이어 중국 시장 점유율 3위로 올라섰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6월 시장 점유율 8.9%를 달성한 이후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9월부터 3개월 연속 11.8%를 기록했다. 지난 11월까지 현대차와 기아차의 누적 점유율은 각각 6.7%, 3.7%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호조는 현대기아차가 지난 9월부터 랑동, K3 등 주력 준중형 신차를 대거 선보인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위에둥(아반떼)과 엘란트라, i30, 포르테 등 다른 준중형 모델도 꾸준한 판매세를 보이면서 현대기아차 점유율을 견인하고 있다.
센카쿠열도 분쟁을 둘러싼 반일 감정 고조에 따른 일본차 불매 운동도 판매 호조에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현대기아차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지난 8월 누적 8.4%에서 10월 10.2%까지 올라갔고 같은 기간 일본 완성차 업체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16.8%에서 6.5%로 급감했다. 지난 9월 일본 정부의 센카쿠열도 국유화 발표로 자극 받은 중국인들이 일본 자동차 불매 운동에 나선 영향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내년에는 중국시장에 스포츠유틸리티(SUV)와 프리미엄 세단 등을 적극적으로 선보여 점유율은 물론 수익까지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2-1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