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신한금융지주의 표정이 복잡합니다. 실적과 주가에 웃지만 대통령 말에 마냥 웃을 수만은 없기 때문입니다.
신한금융지주 주가는 30일 5만 14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전날에 이어 52주 신고가(新高價)를 계속 다시 쓰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전에는 주당 6만원(2007년 7월 25일 종가 6만 6200원)을 돌파하기도 했으나 이후 주가가 쭉쭉 밀려 2011년 8월 1일(5만 800원)을 끝으로 4만원대에서 허우적대 왔습니다. 신한 측은 “차별화된 실적이 가져온 결과”라고 자평합니다. 올 상반기 순익은 1조 1360억원입니다. KB금융(7652억원)이나 하나금융(6101억원)과는 비교가 안 되는 성적입니다. 4강 체제가 무너지고 신한의 독주 체제가 굳어졌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그런데 속내가 편치만은 않습니다. 대통령의 질타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4일 “금융사 임직원들이 사고만 안 나면 된다는 의식 때문에 리스크가 있는 대출이나 투자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보신주의가 서민 경제를 어렵게 한다고 혀를 찼습니다. 그러자 최고 실세라는 최경환 경제부총리까지 나서 금융 보신주의를 손보겠다고 엄포를 놨습니다.
금융권은 “이럴 때 찍히면 끝장”이라며 잔뜩 몸조심을 하면서도 대통령 언급의 구체적인 대상을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입니다. 리딩 뱅크인 신한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신한은 떼이는 돈(부실 여신)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여신 심사나 리스크 관리 기법이 발달돼 있기 때문이라고 신한은 설명하지만 경쟁사들은 “떼일 것 같으면 재빨리 회수하고 위험해 보이면 아예 안 빌려 주기 때문”이라고 꼬집습니다. 질시도 다분히 섞여 있지만 오랫동안 ‘비 올 때 우산을 뺏는다’는 꼬리표가 신한을 따라다닌 것도 사실입니다. 신한 측은 “보신과 선진 기법은 엄연히 다르다”면서 “한동우 회장 취임 이후 꾸준히 ‘따뜻한 금융’ 운동을 펼치면서 종전의 부정적인 편견은 상당 부분 엷어졌다”고 항변합니다.
대통령은 특정 금융사를 염두에 뒀다기보다는 금융권 전체를 겨냥했을 겁니다. 서로 ‘우리는 아니다’라고 손사래를 치기 이전에 이번 기회에 신한을 비롯해 금융권의 변신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신한금융지주 주가는 30일 5만 14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전날에 이어 52주 신고가(新高價)를 계속 다시 쓰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전에는 주당 6만원(2007년 7월 25일 종가 6만 6200원)을 돌파하기도 했으나 이후 주가가 쭉쭉 밀려 2011년 8월 1일(5만 800원)을 끝으로 4만원대에서 허우적대 왔습니다. 신한 측은 “차별화된 실적이 가져온 결과”라고 자평합니다. 올 상반기 순익은 1조 1360억원입니다. KB금융(7652억원)이나 하나금융(6101억원)과는 비교가 안 되는 성적입니다. 4강 체제가 무너지고 신한의 독주 체제가 굳어졌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그런데 속내가 편치만은 않습니다. 대통령의 질타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4일 “금융사 임직원들이 사고만 안 나면 된다는 의식 때문에 리스크가 있는 대출이나 투자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보신주의가 서민 경제를 어렵게 한다고 혀를 찼습니다. 그러자 최고 실세라는 최경환 경제부총리까지 나서 금융 보신주의를 손보겠다고 엄포를 놨습니다.
금융권은 “이럴 때 찍히면 끝장”이라며 잔뜩 몸조심을 하면서도 대통령 언급의 구체적인 대상을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입니다. 리딩 뱅크인 신한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신한은 떼이는 돈(부실 여신)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여신 심사나 리스크 관리 기법이 발달돼 있기 때문이라고 신한은 설명하지만 경쟁사들은 “떼일 것 같으면 재빨리 회수하고 위험해 보이면 아예 안 빌려 주기 때문”이라고 꼬집습니다. 질시도 다분히 섞여 있지만 오랫동안 ‘비 올 때 우산을 뺏는다’는 꼬리표가 신한을 따라다닌 것도 사실입니다. 신한 측은 “보신과 선진 기법은 엄연히 다르다”면서 “한동우 회장 취임 이후 꾸준히 ‘따뜻한 금융’ 운동을 펼치면서 종전의 부정적인 편견은 상당 부분 엷어졌다”고 항변합니다.
대통령은 특정 금융사를 염두에 뒀다기보다는 금융권 전체를 겨냥했을 겁니다. 서로 ‘우리는 아니다’라고 손사래를 치기 이전에 이번 기회에 신한을 비롯해 금융권의 변신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7-3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