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편중서 다양한 분야로
2012년 12월 18일 KB금융지주 임시 이사회에서 ING생명 인수 안건 표결이 진행됐다. 결과는 찬성 5표, 반대 5표, 기권 2표로 부결이었다. KB금융은 전체 자산의 90%가량이 은행에 편중돼 있어 수익원 다변화가 절실했다. 어윤대 전 회장이 ING생명 인수를 강력하게 밀어붙였지만 당시 임영록 사장과 사외이사들의 거센 반대에 부닥쳤다. 표면적인 이유는 ‘KB금융이 써낸 인수가(2조 4500억원)가 너무 높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어 전 회장과 사외이사 진영의 ‘권력 다툼’이 배경이었다. 주주의 권익 보호와는 거리가 멀었다. 올해 KB사태로 KB금융이 흔들릴 때도 KB금융지주는 물론 은행 사외이사들의 중재 역할은 찾아볼 수 없었다. 사외이사들이 ‘제왕적 권한을 지니면서도 책임은 지지 않는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윤종규 회장 취임 이후 KB금융은 내홍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사외이사들의 권한을 줄이고 선출 방식을 다변화하는 개선안을 내놨다.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지난 12일 지배구조 개선안을 최근 금융 당국에 제출했다.
외부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한 이 개선안에는 사외이사 인적 구성 다변화 내용이 담겨 있다. 기존 KB금융 사외이사 9명 중 6명이 학계 출신에 편중됐던 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앞으로는 기업인, 금융인, 주주 대표 등 다양한 분야의 사외이사를 선임한다. 사외이사 후보군 선정은 외부 전문기관을 적극 활용하고, 최종 후보 선임 때는 고객 대표와 KB금융 임원도 참여시켜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사외이사 숫자도 줄어든다. 지주 9명, 은행 6명 등 15명의 사외이사 숫자를 줄이고, 대신 KB금융 최고 경영진이 맡는 상임이사 숫자는 늘린다. 현재 이사회 내 상임이사는 윤 회장 1명뿐이다. 아울러 지주 회장과 행장의 선임은 물론 주요 경영 사항까지 대부분 결정하던 이사회 권한이 축소된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4-12-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