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유통업계 이어… 글로벌 공략
온 업계가 180조원 규모의 캐릭터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네이버, 다음카카오 등 정보기술(IT) 업계는 메신저, 웹툰 등 캐릭터 사업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한 지 오래고, 유통업계도 최근 캐릭터와 연계한 마케팅으로 톡톡한 재미를 보고 있다. 이제는 광고회사도 캐릭터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제일기획은 힙합, 악동, 섹시 등을 아둥가의 콘셉트로 잡고 10~20대를 주 고객으로 한 간접광고, 온·오프라인 프로모션을 통해 캐릭터를 알리겠다고 설명했다. 부즈클럽은 아둥가 캐릭터 제작과 디자인 적용을 맡는다.
조경식 제일기획 미디어본부장은 “오는 4월 패션 제품, IT 기기 액세서리, 게임 등 캐릭터 상품을 출시하고, 이후 제일기획의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중국, 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수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포털 업계도 마음이 바쁘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도 최근 앞다퉈 캐릭터 상품을 확대하고 관련 사업 조직을 정비했다. 네이버는 지난달 웹툰 캐릭터의 상품 기획과 디자인, 제작을 총괄하는 ‘웹툰 스튜디오’ 조직을 신설하고 이달 초에는 애경과 제휴해 웹툰 ‘마음의 소리’ 캐릭터를 활용한 샴푸도 선보였다. 다음카카오가 지난해 말 내놓은 ‘양말도깨비’ 믕이 캐릭터 상품 역시 일주일 만에 매출 1억원을 돌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모두가 캐릭터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뭘까. 업계 관계자는 “캐릭터 사업의 경우 언어와 인종의 장벽이 없어 글로벌 진출이 용이하다”면서 “캐릭터를 활용한 새로운 스토리로 장기간 사업을 지속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글로벌 마케팅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전 세계 캐릭터 시장 규모가 지난해 175조원에서 올해 18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본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2-1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