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 시즌 재벌 후계자 보니
13일 삼성과 현대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재벌 그룹들이 계열사별로 주주총회를 갖는다. 주총에서는 경영에 책임을 지는 등기이사를 선임하지만 경영에 참여하는 일부 재벌 오너들은 올해도 등기임원 등재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기이사가 되면 경영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데다 연봉도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기 때문이다.
10대 재벌 그룹 후계자 등기이사 선임 현황 (2015년 3월 주총 기준)
12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올해 주총에서도 등기이사로 등재하지 않는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5월 이건희 회장이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이후 사실상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데다 경영권 승계도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고 있지만 경영에 책임을 지는 등기이사직은 맡지 않고 있다.
삼성가 오너 가운데 등기이사로 책임경영 전면에 나서는 사람은 이 회장의 장녀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유일하다. 그는 201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임기 3년의 등기이사로 재선임된 바 있다. 이건희 회장은 2008년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특검조사를 받은 뒤 등기이사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10년 경영에 복귀했지만 등기이사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제일모직 패션부문 경영기획담당 임원과 제일기획 경영전략부문장을 맡고 있는 이서현 사장 역시 이사회 멤버에서 빠져 있다. 이 사장은 지난해 사장으로 승진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등기임원의 보수를 공개하는 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통과되기 직전인 2013년 초 그동안 유지해 오던 신세계와 이마트 등기이사직을 내놨다. 그는 현재 비(非)이사회 멤버 자격으로 경영 활동을 벌이고 있고 등기이사를 다시 맡을 계획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영 활동에 대한 법적 책임이나 연봉 공개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SK, 한화, CJ 오너들의 경우 실형을 선고받아 등기이사직을 내려놓은 경우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동생인 최재원 부회장은 지난해 2월 형이 확정된 이후 맡고 있던 그룹사들의 등기이사직을 모두 사임했다.
반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현대건설 등 계열사의 등기임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2월 9년 만에 현대제철 등기이사직을 내려놨으며 다시 맡을 계획이 없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13일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현대오토에버, 현대엔지비 주총에서 등기이사로 재선임된다.
LG그룹도 구본무 LG 회장이 지주회사인 ㈜LG 사내이사를, 동생인 구본준 부회장이 LG전자 대표이사 사내이사직을 유지한다. 지난해 말 부장에서 상무로 승진한 구본무 회장의 장남 구광모 ㈜LG 상무는 아직 사내이사로 선임될 계획이 없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3-1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