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기 둔화,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대외 불안 요인 상존
정부는 우리 경제의 내수 개선세가 확대되고 생산과 투자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대외 위험요인이 여전히 상존해 있다고 평가했다.기획재정부는 8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소비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전 수준을 웃돌면서 생산과 투자도 2분기 부진에서 점차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고용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물가상승률은 저유가로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백화점 매출액은 1년 전보다 14.1% 증가했고 할인점 매출액도 10.0% 늘었다. 지난 8월 백화점 매출액은 1.2% 증가하는데 그쳤고, 할인점은 4.8%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지난달부터 소비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국산 승용차의 내수 판매량도 1년 전보다 15.5% 증가했다. 소비 호조로 카드 국내승인액도 14.8% 늘었다.
윤인대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대책은 외화 유출 등 발생가능한 모든 시나리오가 단계별로 준비됐다”면서 “문제는 중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인데 아직까지 중국 정부의 정책 여력이 많아서 경착륙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