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소득이 이전소득 증가 덕에 7분기 만에 최대폭으로 늘었다.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의 소득도 소폭 늘어나 이들의 소득 격차가 4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3분기 전국 가구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487만 6900원으로 1년 전보다 2.7% 늘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37만 4400원으로 1년 전보다 4.3% 늘었다. 1분위의 월평균 이전소득은 지난해보다 11.4% 오른 67만 3700원으로, 1분위 가계소득의 절반이나 됐다. 반면 5분위 소득은 월평균 980만 200원으로 0.7% 늘어나는 데 그쳐 상하위 소득 격차가 3분기 기준 4년 만에 줄었다.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의 소득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5.37배로, 지난해 3분기(5.52배)보다 0.15배 낮아졌다. 3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15년 4.46배에서 지난해 5.52배까지 커지다가 올해 감소로 돌아섰다. 다만 배율 자체는 2009년(5.48) 글로벌 금융위기 때만큼이나 높은 수준이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3분기 전국 가구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487만 6900원으로 1년 전보다 2.7% 늘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137만 4400원으로 1년 전보다 4.3% 늘었다. 1분위의 월평균 이전소득은 지난해보다 11.4% 오른 67만 3700원으로, 1분위 가계소득의 절반이나 됐다. 반면 5분위 소득은 월평균 980만 200원으로 0.7% 늘어나는 데 그쳐 상하위 소득 격차가 3분기 기준 4년 만에 줄었다.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의 소득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5.37배로, 지난해 3분기(5.52배)보다 0.15배 낮아졌다. 3분기 기준 5분위 배율은 2015년 4.46배에서 지난해 5.52배까지 커지다가 올해 감소로 돌아섰다. 다만 배율 자체는 2009년(5.48) 글로벌 금융위기 때만큼이나 높은 수준이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9-11-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