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이 부각되며 AI의 윤리적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요구에 발맞춰 엔씨소프트는 AI 기술이 ‘인간 중심의 AI’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AI 윤리를 정립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엔씨소프트 ‘NC AI 윤리 프레임워크’의 세 가지 핵심 가치 <자료: 엔씨소프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엔씨소프트 ‘NC AI 윤리 프레임워크’의 세 가지 핵심 가치 <자료: 엔씨소프트 제공>
엔씨소프트는 ‘NC AI 윤리 프레임워크’라는 이름 아래 세 가지 핵심 윤리 가치를 정하고 AI 개발과 운영 과정 전반에 이를 반영하고 있다. 데이터 보호화 편향되지 않는, 투명성이 그 3가지 핵심 가치다. AI 기술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사회적으로 편향되지 않게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며 해석 가능한 AI를 지향한다는 의미에서다.
이를 위해 엔씨소프트는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는 남기고 개인 정보는 비식별화하는 정책과 관련 처리 시스템 등을 구축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원천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또 AI 서비스가 특정인을 소외시키거나 그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비윤리적 표현 데이터 사전으로 걸러내고 무례한 발화를 제어하고 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에 자리한 엔씨소프트 사옥 전경. 엔씨소프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에 자리한 엔씨소프트 사옥 전경. 엔씨소프트 제공
회사는 또 ‘디지털 책임’의 일환으로 AI 윤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산하기 위한 활동에도 기여하고 있다.
윤송이 최고전략책임자(CSO)가 미국 하버드대, 스탠포드대,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석학들과의 토론을 통해 AI 기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과 방향을 제시하는 대담 프로그램 ‘AI 프레임워크’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최근 윤송이 CSO는 이화여대 AI융합학부 산학협력 포럼에서 ‘AI와 윤리’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면서 “AI 시대에는 기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이 필요하다.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업과 학계의 노력도 절실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서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