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에 월 6만 6000원 지출… 만족도 KT 꼴찌”

“이동통신에 월 6만 6000원 지출… 만족도 KT 꼴찌”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3-10-13 10:47
수정 2023-10-13 1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소비자원 1500명 조사 결과
KT 데이터 품질·요금 만족도 3위
소비자들 통신 요금에 낮은 만족도

이미지 확대
이통사 통화·데이터 품질 만족도 연합뉴스 그래픽
이통사 통화·데이터 품질 만족도
연합뉴스 그래픽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은 이동통신 요금으로 월평균 6만원 이상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사 종합 만족도는 업계 2위인 KT가 꼴찌 점수를 받았다.

소비자원은 지난 6월 전국 20세 이상 이동통신 가입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조사결과 단말기 할부금과 콘텐츠·부가서비스 이용료 등을 포함한 1인당 월평균 통신 요금은 6만 5867원으로 집계됐다. 금액 구간별로는 4만∼6만원이 27.2%(408명)로 가장 많았고 4만원 미만이 23.9%(358명), 6만∼8만원 20.1%(302명), 10만원 이상 17.1%(257명), 8만∼10만원 11.7%(175명) 등이었다.

5점 만점인 이동통신사 종합 만족도에서 SK텔레콤이 가장 높은 3.51점을 받았다. LG유플러스가 3.38점으로 2위였고, KT는 3.28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KT는 통화 품질 만족도는 2위였지만 데이터 품질 만족도와 요금 만족도가 꼴찌였다. 통화 품질 만족도는 SK텔레콤이 3.80점, KT 3.59점, LG유플러스 3.56점이었다. 데이터 품질 만족도는 SK텔레콤 3.50점, LG유플러스 3.24점, KT가 3.19점이었다. 요금 만족도는 LG유플러스 3.21점, SK텔레콤 3.10점, KT 3.03점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이동통신 서비스 요금에 대체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과정에서 불만이 생기거나 피해를 봤다는 응답도 17.0%(256명)에 달했다. 피해 유형엔 부당 가입 유도가 37.5%(96명)로 가장 많았다. 가입 시 설명·고지 미흡 35.2%(90명), 약정 해지·변경에 따른 위약금 부과 31.3%(80명), 서비스 품질 미흡 27.3%(70명) 등 순이었다.

소비자원은 최근 이동통신 3사와의 간담회에서 이러한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사업자들에게 소비자가 통신비 인하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합리적인 요금제 운영, 만족도 높은 유용한 부가서비스·혜택 제공 등을 당부했다.



KT는 “타 기관이 시행한 품질 만족도 조사에서 1위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눈높이에서 불편 경험을 면밀히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