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 13위, 한화에어로 6위
자동차·철강·이차전지株 ‘뒷걸음’

올해 들어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상위권의 지각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발 정책 수혜와 글로벌 방산 수요 증가에 힘입은 원전주 및 조선주의 순위는 오른 반면 관세 리스크와 수요 둔화 우려로 부진했던 이차전지와 자동차는 줄줄이 밀려났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시총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17개 종목의 지난해 말 대비 순위가 바뀌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시총 1, 2위 자리를 그대로 유지했다. 신한지주는 시총이 23조원대에서 28조원대로 늘었지만 순위는 11위로 같았다.
순위가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원전주인 두산에너빌리티로 지난해 말 35위에서 지난 5월 말 13위로 22계단 뛰었다. 이 기간 시총은 11조 2420억원에서 25조 8428억원으로 14조원 넘게 증가했다.
두 번째로 순위 상승폭이 큰 종목은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였다. 글로벌 군비 증강 기조와 2분기 호실적 기대감이 주가를 밀어올리면서 지난해 말 25위에서 6위로 19계단 올랐다.
트럼프 정부와의 협력과 미국의 대중 제재에 따른 수혜 기대로 조선주도 순위를 바꿨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말 32위에서 14위로 순위가 18계단 뛰었으며 HD한국조선해양은 22위에서 17위로 5계단 올랐다.
6·3 대통령 선거 이후 차기 정부가 추진할 증시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금융주도 순위가 상향 조정됐다. 하나금융지주는 작년 말 23위에서 지난 5월 말 19위로 순위가 4계단 올랐으며 KB금융도 8위에서 5위로 3계단 올라섰다.
반면 원달러 환율 하락과 미국발 관세 우려,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자동차와 철강, 이차전지 종목은 순위가 내려갔다. 현대차는 5위에서 7위로 2계단 밀려났고 기아는 6위에서 9위로 3계단 내려섰다. 부품사인 현대모비스는 12위에서 16위로 순위가 4계단 떨어졌다. 포스코홀딩스는 15위에서 23위로 순위가 8계단 하락해 내림폭이 가장 컸다.
2025-06-0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