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거래융자 잔고 반년 새 28%↑
전문가 “중장기적 상승 기류 탔다
기업 활동 안정된 토양 조성해야”

코스피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불과 보름여 만에 3000포인트를 돌파하면서 이번 상승 랠리가 구조적 상승 전환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수가 다시 밀리지 않기 위한 과제로 ▲수출 확대 ▲관세 개선 ▲좀비기업 퇴출 ▲기업이익 회복 등을 제시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코스피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1조 5614억원으로 반년 만에 약 28%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는 주가 상승 기대가 클 때 늘어난다. 단기 급등에 대한 ‘하락 베팅’도 함께 늘고 있다. 대표 지표인 공매도 잔고 규모는 지난달 30일 6조 7502억원에서 지난 18일 7조 8556억원으로 약 16.4% 증가했다.
코스피가 처음으로 3000선을 돌파한 2021년 1월에는 약 6개월간 랠리가 이어졌다. 당시 개인투자자들은 삼성전자, 카카오 등 시총 상위주를 대거 사들였지만 이후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우려로 지수가 하락하면서 카카오와 네이버는 ‘반토막’이 났고, 삼성전자 주가는 역대 최고인 9만 6800원을 찍은 뒤 ‘4만전자’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이번 코스피 3000 돌파 국면에서 최근 한 달간 외국인 투자자는 SK하이닉스,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삼성중공업 등을 집중 매수했다. 개인투자자는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솔루션, 삼성SDI, 펩트론 등을 순매수했다. 대체로 신재생에너지, 이차전지, 바이오 등 미래 성장주에 집중하는 양상이다.
기관투자자는 카카오, 삼성물산, 한화오션, 한국금융지주, 삼성생명을 담았다. 삼성전자는 기관의 순매수 상위 종목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지만 코스피 내 시가총액 비중은 14.25%(6월 20일 기준)까지 내려갔다. 2016년 3월 9일(14.02%) 이후 9년 3개월여 만의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좀비기업 퇴출, 기업 실적 회복 등의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면서도 코스피는 중장기적으로 ‘상승’ 기류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올해 코스피 적정 지수는 3200선”이라며 “현재의 상승은 저평가된 주가가 실질 성장과 물가를 반영해 정상화되는 흐름”이라고 말했다. 이재만 하나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방산·조선 등 업종의 이익 성장이 뚜렷하다는 점에서 “연내 코스피 상단은 3240선까지 열려 있다”고 밝혔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추가 상승의 열쇠는 2분기 실적에 달렸다”며 “특히 삼성전자의 반등이 본격화된다면 지수의 상방 여력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는 “지속적인 시장 회복을 위해선 반(反)기업적인 정책을 지양해야 한다”며 “정부는 기업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안정된 토양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 옥석 가리기를 위한 상장폐지 요건 강화도 과제로 꼽혔다.
2025-06-2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