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은 1982년 7월7일 재일교포들이 전액 출자한 자본금 250억원, 임직원 261명, 점포 3곳으로 출발했다. 말이 은행이지 은행이라기보다는 상호신용금고(현 저축은행)와 가까웠다. 하지만 이날은 우리나라 금융계와 재계에 신선한 충격을 준 날, 시중은행의 경영기법과 영업패턴을 바꿔나가기 시작한 역사적인 날로 기록된다.
신한은행의 서울 명동지점과 서소문지점, 대구지점 행원들은 고객이 들어올 때마다 “어서 오십시오.”라는 말과 함께 고개를 90도 숙이며 인사했다. 인사에 깜짝 놀라 밖으로 나갔다가 마음을 진정시켜 다시 들어오는 손님들이 한둘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 때 은행의 문턱은 높고 높았다. 대출 받는 것 자체가 특혜로 여겨지던 때였다. 대출 받으면 으레 커미션(수수료)을 주는 게 관행 아닌 관행이었다. 이처럼 콧대 높은 은행의 직원들이 90도로 인사를 하니 놀랄 수밖에…. 친절하기로 소문났던 백화점 직원까지 신한은행을 배워갈 정도였다.
다른 은행들이 창구에서 손님을 기다릴 때 신한은행은 손님을 찾아 나섰다. 초대 김세창 행장부터 거리에서 예금유치 캠페인을 했다. 1991년부터 남대문 시장을 비롯해 상가가 밀집된 지역의 점포를 중심으로 동전교환기 전동차를 운영했다. 1984년부터는 점포별 독립채산제를 실시했다. 1987년에는 신한종합연구소를 설립했다. 세계적인 국제금융지(誌)인 유러머니는 1990년 세계 24개의 우량은행 중 한 곳으로 신한은행을 뽑았다. 국내 은행이 유러머니가 선정한 우량은행에 선정된 것은 처음이었다. 신한은행은 일천(日淺)한 역사에도 이처럼 ‘최초’ 기록 제조기였다.
신한은행의 성장 뒤에는 라응찬(현 신한금융지주 회장) 상무를 빼놓을 수 없다. 이희건 당시 신한은행 회장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던 라 상무는 “단합해도 성공할지 모르는 판에 직원도 몇명 되지도 않는데 파벌을 조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창립 초부터 ‘파벌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출신은행·출신지역·출신학교별 모임을 용납하지 않았다.
국내 은행의 역사를 새로 써 내려간 신한은행이 소위 빅3(라 회장·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이백순 신한은행장)의 싸움으로 창립 28년만에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그토록 혐오했던 파벌 싸움이 불거진 것도 아이러니하다. 고위 공직자나 최고경영자(CEO)들은 ‘신한은행 사태’를 계기로 욕심은 화(禍)를 부를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한번 생각해 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신한은행의 서울 명동지점과 서소문지점, 대구지점 행원들은 고객이 들어올 때마다 “어서 오십시오.”라는 말과 함께 고개를 90도 숙이며 인사했다. 인사에 깜짝 놀라 밖으로 나갔다가 마음을 진정시켜 다시 들어오는 손님들이 한둘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 때 은행의 문턱은 높고 높았다. 대출 받는 것 자체가 특혜로 여겨지던 때였다. 대출 받으면 으레 커미션(수수료)을 주는 게 관행 아닌 관행이었다. 이처럼 콧대 높은 은행의 직원들이 90도로 인사를 하니 놀랄 수밖에…. 친절하기로 소문났던 백화점 직원까지 신한은행을 배워갈 정도였다.
다른 은행들이 창구에서 손님을 기다릴 때 신한은행은 손님을 찾아 나섰다. 초대 김세창 행장부터 거리에서 예금유치 캠페인을 했다. 1991년부터 남대문 시장을 비롯해 상가가 밀집된 지역의 점포를 중심으로 동전교환기 전동차를 운영했다. 1984년부터는 점포별 독립채산제를 실시했다. 1987년에는 신한종합연구소를 설립했다. 세계적인 국제금융지(誌)인 유러머니는 1990년 세계 24개의 우량은행 중 한 곳으로 신한은행을 뽑았다. 국내 은행이 유러머니가 선정한 우량은행에 선정된 것은 처음이었다. 신한은행은 일천(日淺)한 역사에도 이처럼 ‘최초’ 기록 제조기였다.
신한은행의 성장 뒤에는 라응찬(현 신한금융지주 회장) 상무를 빼놓을 수 없다. 이희건 당시 신한은행 회장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던 라 상무는 “단합해도 성공할지 모르는 판에 직원도 몇명 되지도 않는데 파벌을 조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창립 초부터 ‘파벌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출신은행·출신지역·출신학교별 모임을 용납하지 않았다.
국내 은행의 역사를 새로 써 내려간 신한은행이 소위 빅3(라 회장·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이백순 신한은행장)의 싸움으로 창립 28년만에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그토록 혐오했던 파벌 싸움이 불거진 것도 아이러니하다. 고위 공직자나 최고경영자(CEO)들은 ‘신한은행 사태’를 계기로 욕심은 화(禍)를 부를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한번 생각해 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곽태헌 논설위원 tiger@seoul.co.kr
2010-09-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