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레나 이화여대 의대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반면 화장품 업계의 활약은 눈부시다. 국내에서도 미인의 기준이 성형 미인에서 피부 미인으로 바뀌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전체 아시아권으로 퍼져 나갔다. 마케팅에서는 밀리지만 상품력을 지닌 국내의 중소 화장품 업체의 상품을 미국으로 직수입하는 업체들이 최근 호황을 누리고 있다. 한류 열풍과 미의 기준에 대한 문화적 변화, 마케팅 전략을 성공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지 마케팅만으로는 국제 경쟁에서 승리하기는 어렵다. 화장품의 발전에는 생명공학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더욱 폭발적이다. 색조 화장에서도 발색력과 지속력 등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한국의 화장품 시장은 전 세계 화장품 업계의 주요한 테스트 마켓이다. 한국 여성들이 미에 민감하고 어얼리 어답터일 뿐만 아니라 상품의 분석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 가지 확인해야 할 사항은 기능성 화장품들이 정말 회사가 주장하는 기능성을 갖추고 있느냐는 것이다. 기능성 화장품들은 과학적 근거와 연구 근거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하기 시작했다. 2007년 프랑스 화장품 회사에서 줄기세포에서 추출한 성분을 넣은 항노화 제품을 처음 출시하면서 이후 다양한 줄기세포 응용 화장품이 개발됐다. 아예 의약품에서 힌트를 얻어 피부 재생 효과를 노리는 화장품들도 있다. 상피세포성장인자(EGF)를 함유한 화장품은 EGF의 피부세포 증식 능력을 기대하며 개발된 제품이다. 이렇게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제품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능성 화장품들은 기초과학 분야 성과물들의 섣부른 파생상품으로 우후죽순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 고가의 기능성 화장품들이 사실은 의학적 연구 성과물의 모사품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단기적인 상업적 목적으로 근거 없는 상품을 개발한다면 지속적인 산업 발전을 장담하기 힘들다.
의료와 산업의 접목에 대한 아이디어는 그리 먼 곳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 의료가 사람을 위한 인술을 근본으로 하듯이 산업 역시 사람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을 이루어 주고자 하는 이타심에서 출발한다. 기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에 대한 진실한 마음과 더불어 기술이 갖추어야 할 과학적 근거와 엄정함 역시 뒷받침돼야 한다. 아울러 시장의 경색을 자초하지 않는 선에서 현명한 산업 지원과 육성 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상상력이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화장품 회사들은 사업을 위한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지만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과학적 연구 데이터에 기반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한층 더 중요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2015-04-1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