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족두리꽃/한승원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족두리꽃/한승원

입력 2020-05-07 17:36
수정 2020-05-08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족두리꽃/한승원

우리 막내 고모 가마 타고 시집간 첫날 상다리 휘어지는 신부상을 받았는데 상 위에는 젓가락으로 집어먹어야 할 것들 뿐이었습니다 처녀 시절 부뚜막에 앉아 바가지에 밥을 담아 먹곤한 막내 고모는 젓가락질을 할 줄 몰랐습니다 김치는 손으로 집어 먹고 파래지국은 숟가락 궁둥이로 건져 먹곤 하였으므로.

울긋불긋한 활옷 입고 연지곤지 찍은 신부 체면에 차마 손으로 집어 먹을 수는 없고 젓가락으로 집을 수 있는 것은 콩나물뿐이라 그것만 거듭 먹었는데 들러리가 부엌을 향해 말하기를

신부상에 콩나물 한 접시 더 주소 우리 신부는 콩나물만 좋아하네!

그날 밤 신랑과 한 이불 속에 들어간 우리 막내 고모 우글거리며 밀고 나오는 방귀를 참고 또 참다 배 뒤틀어 올라 뒹굴고 다녔는데

다섯 해 전 당신 혼자만 아는 먼 나라로 떠나가신 우리 막내 고모 시방 내 토굴 화단에서 이 조카 쳐다보며 웃고 있습니다

과꽃과 채송화, 족두리꽃을 좋아한다. 내 기준으론 이 세 꽃이 피어야 시골집이 된다. 어린 시절부터 과꽃을 보면 눈물이 났는데 이유는 모른다. 그냥 좋은 것이다. 장독대 주위를 둥글게 감싸 핀 채송화를 보고 있으면 세상이 잠시 유토피아가 된다. 족두리꽃은 사립문 밖에 핀다. 집에 들르는 사람을 제일 먼저 맞아 주는 꽃이 족두리꽃이다. 족두리꽃이 작은 바람에 흔들리는 것 보면 왠지 안쓰러웠는데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화혼례 날의 콩나물, 첫날밤의 콩나물. 막내 고모 배 뒤틀어 오른 콩나물. 전라도에서는 김치를 지라 부른다. 파래지국은 파래로 만든 김칫국을 뜻한다. 숟가락 궁둥이로 파래지국 먹고 싶다.

곽재구 시인
2020-05-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