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풍경 안에서/화가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풍경 안에서/화가

입력 2021-08-17 20:36
수정 2021-08-18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입추 지나니 더위가 꺾인 듯하나 마당에 나서면 뜨거운 햇살 아래다. 더 뜨거워지기 전에 화단에 기승하는 바랭이, 깨풀, 여뀌들 솎아 낸다. 어느새 한 무더기 쌓여 간다. 고양이들이 언제 나왔는지 마당을 헤집고 다닌다. 주먹만 하던 아기 고양이들이 어느새 커서 각자 하고 싶은 바를 찾아다닌다. 그저 지켜보는 녀석이 있는가 하면 재미난 것 없나 살피며 장난치는 녀석, 마당을 질주하며 노는 고양이들을 보자 하니 눈에 들어오는 풍경들이 별스럽지 않다.
새들 노래하는 소리도 당연하고, 귀뚜라미 쓰르라미 여치 우는 소리도 새삼스럽지 않다. 달려드는 모기도, 나무에 톡톡 튀어 다니며 하얗게 만드는 미국선녀벌레도 유별나지 않다. 집 안을 기어 다니는 돈벌레나 거미들 때문에 놀라 호들갑 떨던 때가 언제였나 싶다.

제비, 어치, 박새, 오목눈이와 오색딱따구리, 청딱따구리, 꾀꼬리, 후투티, 물까치 등이 몰려오면 카메라를 꺼내 사진 찍기 바빴는데 이젠 그러려니 무심히 바라보게 된다. 마당과 숲을 종횡무진 돌아다니는 고양이들이 달고 오는 벌레들과 물고 오는 뱀이나 쥐, 새들도 놀랍지 않게 돼 간다. 그러자고 마음먹는다고 되는 일이 아닐 텐데 어느새 자연스러운 일이 됐다.

서울 수유리에 살 때 어쩌다 들어오는 곤충들이 궁금해서 안방 방충망 문을 열어 놓고 며칠 지낸 적이 있었다. 모기 파리가 주로 많을 줄 알았는데 의외로 천장이며 벽이며 여러 나방과 딱정벌레들이 잔뜩 붙어 있거나 날아다녔다. 그 모습이 어찌나 신기하던지 한참 구경했던 적이 있다. 시골에 내려오니 늘상 접하게 되는 풍경이다.

시골에 왜 내려왔느냐는 질문을 참 많이 받았다. 농사짓는 것도 아니고, 어떤 활동도 아니고, 시골 공동체 안에 들어와 그들처럼 살고픈 마음도 아니다. 자연에 좀더 가깝게 살던 어린 시절이 그리워서도 아니다. 이곳에 정착하기 전 했던 전원생활은 적응이 쉽지 않아 다시 도시로 돌아가기도 했다. 익숙해진다는 것은 밖에서 주는 매뉴얼에선 찾기 어렵다. 무심히 보내는 시간이 필요하고 자신을 들여다보는 계기들이 쌓이다 보면 자연스러워지는 것이 아닐까 싶다. 스스로 풍경 안에서 그들과 별다를 바 없이 지내는 호사를 이제 좀 누리고 있는 즈음, 여전히 답을 찾고 있다.

2021-08-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