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민주화 시위에 떠밀려 30년 권좌에서 물러난 호스니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이 건강 악화로 혼수상태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영 언론도 “혼수상태는 아니다.”라면서도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점은 부인하지 않았다.
사메 슈크리 이집트 주미 대사도 14일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건강이 좋지 않다고 밝혔다. 슈크리 대사는 NBC 투데이 프로그램에 출연해 “무바라크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정보가 있다.”면서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이날 이집트와 아랍권 언론을 인용해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건강이 크게 악화돼 중태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현지 신문 ‘알마스리 알야움’에 따르면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한 측근은 “무바라크가 혼수상태에 빠져 있으며 자택에서 치료 중”이라면서 “가족들이 입원 결정은 하지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무바라크는 국영 TV 방송을 통해 방영된 사퇴 연설을 녹음하는 과정에서도 몇 차례나 의식을 잃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반면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국영 신문 알고무리아를 인용, “혼수상태에 빠진 것은 아니다.”라면서 “정신 건강 상태가 심각하지만, 본인이 치료를 거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집트 총리 권한 대행을 맡고 있는 아흐메드 샤픽은 전날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홍해 연안의 휴양지 샤름 엘셰이크에 있는 겨울 관저에 계속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이 망명을 한다면 아랍에미리트연합(UAE)행이 유력하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AP통신은 두바이를 기반으로 한 알아라비야를 인용,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UAE로 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쿠웨이트 일간지인 알카바스에 따르면 UAE 정부는 무바라크에게 오만 국경 인근 알아인으로 거처를 옮길 것을 제안했다. 앞서 지난 11일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UAE 정부가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두바이로 망명시키는 것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아직까지 UAE는 이 같은 일련의 보도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무바라크 본인 역시 “이집트 땅에서 죽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사정의 칼날이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휴양지 샤름 엘셰이크에서 계속 머물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사메 슈크리 이집트 주미 대사도 14일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건강이 좋지 않다고 밝혔다. 슈크리 대사는 NBC 투데이 프로그램에 출연해 “무바라크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에 있다는 정보가 있다.”면서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이날 이집트와 아랍권 언론을 인용해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건강이 크게 악화돼 중태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현지 신문 ‘알마스리 알야움’에 따르면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한 측근은 “무바라크가 혼수상태에 빠져 있으며 자택에서 치료 중”이라면서 “가족들이 입원 결정은 하지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무바라크는 국영 TV 방송을 통해 방영된 사퇴 연설을 녹음하는 과정에서도 몇 차례나 의식을 잃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반면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국영 신문 알고무리아를 인용, “혼수상태에 빠진 것은 아니다.”라면서 “정신 건강 상태가 심각하지만, 본인이 치료를 거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집트 총리 권한 대행을 맡고 있는 아흐메드 샤픽은 전날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홍해 연안의 휴양지 샤름 엘셰이크에 있는 겨울 관저에 계속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이 망명을 한다면 아랍에미리트연합(UAE)행이 유력하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AP통신은 두바이를 기반으로 한 알아라비야를 인용,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UAE로 갈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쿠웨이트 일간지인 알카바스에 따르면 UAE 정부는 무바라크에게 오만 국경 인근 알아인으로 거처를 옮길 것을 제안했다. 앞서 지난 11일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UAE 정부가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두바이로 망명시키는 것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아직까지 UAE는 이 같은 일련의 보도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무바라크 본인 역시 “이집트 땅에서 죽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사정의 칼날이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휴양지 샤름 엘셰이크에서 계속 머물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2-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