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신형 군용 수송기 ‘윈(運)9’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26일 영국의 군사전문지 제인스디펜스위클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윈9은 최근 산시(陝西)성 시안(西安) 중국비행시험연구원의 비행장에서 목격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05년 베이징에어쇼에서 컨셉트 항공기가 처음 공개된 윈9은 산시항공기공업그룹이 개발했으며 최대 항속 거리 4200㎞, 최대 적재 중량 20t으로 미군 주력 수송기인 록히드 마틴 C130J에 필적할 만하다고 통신은 전했다. 1962년 옛 소련의 안토노프 설계국이 개발한 중형 수송기 AN12의 최신 개량형이다. 양쪽 날개에 각각 2개씩 5100마력의 터보프롭 엔진을 4개 장착하고 있다.
윈9은 또 98명의 무장 병력을 태울 수 있으며 한 차례에 투하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이 8.2t에 이른다. 중국군 기계화 공수부대가 사용하는 작전차량 ZBD03의 중량이 8.2t이라는 점에서 공수부대의 원거리 수송 등을 염두에 둔 설계로 보인다. 항공 전문가들은 윈9의 적재 능력은 미국의 C130J에 뒤지지만 병력 수송 규모 등이 앞서고 항속 거리, 속도, 공중 투하 능력 등도 대등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산시항공기공업그룹은 윈9에 이어 최대 적재 중량이 60t에 이르는 ‘슈퍼 수송기’ 윈20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지난 1월 쓰촨성 청두(成都)에서 5세대 스텔스전투기인 젠(殲)20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으며 최근에도 간쑤성, 칭하이성 등의 해발 1000~3000m 고원지대에서 무인 헬리콥터 U8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베이징의 한 군사 전문가는 “중국군이 무서운 속도로 현대화하고 있다.”면서 “국방비의 상당 부분을 장비 개발에 쏟아붓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7-2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