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명 ‘인어공주’ 최후의 일전

알자지라는 목격자와 반군 측을 인용해 20일 저녁부터 다음 날 오전까지 트리폴리 시내 곳곳에서 반군과 카다피 친위부대 사이에 전투가 이어졌다고 전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소속 공군이 공중 지원해 주는 것도 반군에 적잖은 힘이 되고 있다. 20일 나토는 리비아 정보 당국 수장이자 카다피의 처남인 압둘라 알세누시의 자택을 비롯해 트리폴리 외곽을 집중 폭격했다.
반군은 지난주 트리폴리에서 서쪽으로 50㎞ 떨어진 자위야를 장악해 트리폴리와 이웃 나라 튀니지를 연결하는 보급로를 차단한 데 이어 20일에는 트리폴리 동쪽 140㎞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 즐리탄을 점령했다. 알자지라는 반군이 트리폴리 근교의 수크 알고마, 타주라, 우라다, 알사바 등의 지역까지 차지했다고 전했다.
반군이 운영하는 텔레비전 방송은 반군이 무기고는 물론 트리폴리 국제공항도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반군 대표기구인 국가과도위원회(NTC) 압델 하피즈 고가 부의장은 “트리폴리에서 반군과 조율한 봉기가 일어났다. 그들은 오랫동안 (봉기를) 준비해 왔다.”면서 “카다피 친위부대원 상당수가 도망쳤다.”고 주장했다.
반면 카다피 국가원수는 21일 새벽 국영 텔레비전에 방영된 육성 메시지를 통해 “리비아 국민이 ‘쥐새끼들’을 소탕했다.”면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리비아 석유를 탐하고 있다. 반군은 리비아를 대표하지 않으며 리비아 국민을 파괴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무사 이브라힘 정부 대변인도 “일부 무장한 반군들이 트리폴리에 잠입했지만 곧바로 격퇴했고 지금은 평온을 되찾았다.”고 말해 트리폴리에서 양측이 전투를 벌였다는 사실은 인정했다.
미국 CNN방송은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카다피가 ‘최후 결전’을 준비하는 것 같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아직까지 카다피가 리비아를 떠나려 한다는 징후는 없다고 전했다.
반면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대변인은 19일 CNN에 “언제 카다피가 물러날지는 모르지만 물러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카다피 정권에는 악재가 계속되고 있다. 이웃 나라인 튀니지는 반군 대표기구 NTC를 “리비아를 대표하는 유일한 기구”로 공식 인정했다. 게다가 내부에선 이탈자가 계속 나오고 있다. 카다피 정권 내 2인자였던 압데살람 잘루드 전 총리가 트리폴리를 떠나 반군 진영에 합류했다. 잘루드는 알자지라에 올린 영상에서 트리폴리 시민들에게 “폭군에 대항해 봉기하라.”고 촉구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8-22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