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 근대화 역사 담긴 희귀 자료, 미국서 공개

구한말 근대화 역사 담긴 희귀 자료, 미국서 공개

입력 2012-12-30 00:00
수정 2012-12-30 09: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에 전차·전기 놓은 보스트윅 사료 200여점, 시카고 한인문화회관서 전시

대한제국 말기 시대상과 근대화 초기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방대한 양의 희귀 자료가 미국 시카고에서 공개됐다.

시카고 한인문화회관은 28일(현지시간) ‘보스트윅 전시회’ 개관 기념행사를 열고 1890년대부터 1910년까지 한국의 다양한 사회상이 담긴 사진과 문서, 이를 기사화한 당시 미국 각지의 신문 스크랩 등 200여 점을 일반에 공개했다.

이 사료는 근대 문물의 상징인 전차와 전기를 한국에 처음 소개한 미국인 해리 보스트윅(1870~1931)의 외손녀 웬디 새들러(70)씨가 소장해왔다.

전시회에서 공개된 두 권의 대형 스크랩북에는 고종과 순종 사진을 비롯한 구한말 황실의 모습, 평민들의 풍속, 미국인들의 서울생활상 등이 담겨있다.

또 서울시내 전차 및 철도 건설 현장과 인부들, 전차 운행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개통식 날 전차를 뒤집은 사고 장면, 서울거리에 최초로 등장한 자동차 사진을 통해 근대화 초기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카고 데일리 뉴스’와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콜로라도 스프링스 텔레그래프’ 등 당시 미국에서 발간되던 각종 신문에 소개된 한국과 한인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보스트윅은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에서 철도건설 교육을 받은 인물로 한국에서 만난 헨리 콜브란(1850~1922)과 함께 ‘C.B.디벨롭먼트’란 회사를 차리고 구한말 개발사업에 참여했다.

고종황제(1852~1919)는 주치의 호러스 앨런(1858~1932)을 통해 알게 된 보스트윅과 콜브란에게 서울 시내 전차·전기·전화·상수도 가설권과 광산 채굴권 등을 부여했다. 보스트윅은 한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건설사업에도 참여했고 서울에 체류하는 미국인들을 위해 호텔과 레스토랑을 지었으며 은행을 운영하기도 했다.

시카고 인근에 거주하는 새들러씨는 한인 강영혜(54)씨와의 인연으로 이 자료를 시카고 한인문화회관에 소개하게 됐다.

시카고 한인문화회관은 이를 선별, 복사해 별도의 전시 자료를 만들었다. 이 작업에는 한미역사학회 함성택 박사와 장기남 문화회관 이사, 건축전문가 김진환씨 등이 참여했다.

함 박사는 “고종시대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된 단계여서 보스트윅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보스트윅은 일본의 야심을 싫어했으며 한국 침략 계획을 안 뒤 모든 이권을 일본에 팔고 미국으로 복귀했다”고 설명했다.

새들러씨는 개관 행사 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외할아버지는 사진찍기를 무척 좋아하셨고 외할머니가 그 사진들과 자료들을 모아 스크랩북으로 만드셨다”며 “지난 1998년 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스크랩북과 그외 자료들을 4남매에게 물려주셨다”고 말했다.

그는 “어머니 도로시 보스트윅은 18세가 될 때까지 외조부모를 따라 1년의 절반은 한국에서, 절반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생활했다”면서 “외할아버지가 일하는 동안 외할머니 엠마 보스트윅은 대부분의 시간을 궁궐에서 왕비와 함께 보냈고 가톨릭 수녀원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새들러씨는 “어릴 적 조부모와 어머니로부터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으며 자랐고 외할머니가 주신 한국 전통자수 작품을 지금도 갖고 있다”면서 “외할아버지는 ‘한국인들은 일본인들보다 훨씬 더 영리하고 더 친절한 사람들’이라 말하곤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카고 한인문화회관 ‘보스트윅 전시회’는 내년 2월 28일까지 계속된다. 또 새들러 가족의 결정에 따라 추후 한국 내 전시회 및 출판도 추진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수색로변 DMC래미안e편한세상아파트 옆에 위치한 ‘가재울 맨발길’ 약 450mm 구간의 황톳길 정비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맞은편 철길 주변에는 반려견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의 관심이 높았던 지역이다. 그동안 가재울 맨발길은 나무뿌리, 돌부리, 모래 등으로 인해 맨발로 걷기에 불편하다는 주민들의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최근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맨발 걷기가 큰 인기를 얻으며 서대문구 안산 등 여러 곳에 맨발길이 조성됐지만, 가재울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은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주민들로부터 다수의 민원을 받아 맨발길 정비를 강력히 종용하였고, 이번 정비를 통해 맨발길은 황토 30%와 마사토 70%를 혼합해 걷기 좋게 개선됐으며, 주변 녹지 환경 정비와 간이 운동 시설, 벤치 등이 새롭게 설치되어 앞으로 가재울 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전망이다. 김 의원은 “시의원을 비롯한 지방의원의 역할은 정책 개발과 더불어 지역 주민과 소통하며 서울시 예산을 확보해 지역 발전과 지역 주민의 편익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업무”라고 강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가재울 맨발길 황톳길 정비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