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창록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26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Human Rights Council Advisory Committee) 위원으로 선출됐다.
한국인이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에 진출한 것은 정진성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에 이어 두 번째라고 제네바 주재 한국대표부는 설명했다.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는 인권 분야의 전문성과 경력, 도덕성, 독립성, 공정성 등을 갖춘 1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유엔 인권이사회에 대한 자문 및 인권 관련 연구 등 싱크탱크 역할을 담당한다. 위원의 임기는 3년이며 1회 연임할 수 있다.
한국의 대표적 인권 분야 학자이며 인권운동가인 서 교수는 국내에서 인권 교육과 연구활동을 해오면서 ‘아시아 인권 포럼’ 주최 등을 통해 국내외 다양한 인권 이슈를 논의하고 정책비전을 제시하는 장을 제공해왔다.
또한, 아시아 내의 여성과 아동 등 인권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을 통한 인도지원 사업도 활발히 전개하는 등 아시아 지역 인권보호체계 수립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편, 정부는 그동안 한국인의 유엔 인권기구 진출을 위한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쳐 신혜수 유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 위원, 이양희 미얀마 인권 특별보고관, 홍성필 자의적 구금 실무그룹 위원, 김형식 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등이 국제무대에서 자리를 잡았다.
이번에 서 교수의 인권이사회 자문위원 진출로 국제 인권 분야에서 한국의 역할과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한국인이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에 진출한 것은 정진성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에 이어 두 번째라고 제네바 주재 한국대표부는 설명했다.
유엔 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는 인권 분야의 전문성과 경력, 도덕성, 독립성, 공정성 등을 갖춘 1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유엔 인권이사회에 대한 자문 및 인권 관련 연구 등 싱크탱크 역할을 담당한다. 위원의 임기는 3년이며 1회 연임할 수 있다.
한국의 대표적 인권 분야 학자이며 인권운동가인 서 교수는 국내에서 인권 교육과 연구활동을 해오면서 ‘아시아 인권 포럼’ 주최 등을 통해 국내외 다양한 인권 이슈를 논의하고 정책비전을 제시하는 장을 제공해왔다.
또한, 아시아 내의 여성과 아동 등 인권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을 통한 인도지원 사업도 활발히 전개하는 등 아시아 지역 인권보호체계 수립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편, 정부는 그동안 한국인의 유엔 인권기구 진출을 위한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쳐 신혜수 유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 위원, 이양희 미얀마 인권 특별보고관, 홍성필 자의적 구금 실무그룹 위원, 김형식 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 등이 국제무대에서 자리를 잡았다.
이번에 서 교수의 인권이사회 자문위원 진출로 국제 인권 분야에서 한국의 역할과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