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식’ 선박 침몰사고 대응…정부방식에 문제 없나

‘중국식’ 선박 침몰사고 대응…정부방식에 문제 없나

입력 2015-06-05 11:54
수정 2015-06-05 1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월호’와 달리 신속 결정…피해자 가족은 배제돼

‘총리의 구조현장 지휘, 선박 바닥 절개, 선체 인양 결정’

중국 양쯔(揚子)강 유람선 ‘둥팡즈싱’(東方之星)호가 지난 1일 오후 9시 28분(현지시간) 침몰된 지 72시간 안에 이뤄진 일들이다.

중국 정부는 사고 발생 이후 생존선(골든타임)으로 알려진 72시간이 지난 4일 밤 ‘생존자 가능성 없음’을 선언하고 본격적인 선체 인양에 착수하고 배상 준비 등에 들어갔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후베이성(湖北) 젠리(監利)현 부근 양쯔강에서 침몰사고가 났다는 보고를 받은 직후 사고현장으로 달려가 4일 현재까지 구조활동을 지휘했다.

중국 당국은 사고 발생 사흘째인 3일까지 배에서 스스로 탈출한 선장과 기관장 등을 포함해 구조자가 14명에서 더 늘지 않자 비상수단을 강구했다.

잠수요원이 선박 밑으로 들어가 생존자 구조를 시도하던 방식의 한계를 느끼자 뒤집힌 선체 바닥면 일부를 절단해 구멍을 뚫고 바로 안으로 들어가는 방식을 시도했다.

에어포켓(공기층)이 있는 구역을 절개할 경우 승객들의 생존력을 급격히 떨어트릴 수 있고 배가 더 가라앉을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해 조심스럽게 3개의 구멍을 뚫었다.

당국은 비상수단을 무릅썼는데도 불구하고 생존자를 추가로 구조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미 숨진 시신들을 인양하면서 선박 내부 상황을 파악해 생존자 가능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를 바탕으로 잠수와 절개를 통한 구조방식과 함께 미리부터 고려해오던 선체 인양을 결정하고 곧바로 실행에 들어갔다.

선박 침몰 사고에서 결정하기 까다로운 일들이 불과 만 3일 안에 모두 이뤄져 중국 특유의 신속한 사고대응 방식을 여실히 보여줬다.

이처럼 신속한 의사 결정은 물론 총리의 현장 지휘, 선박 바닥 절개, 선체 인양 등은 모두 지난해 4월 한국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찾아볼 수 없었던 일들이다.

이에 반해, 세월호 사고 당시와 비교할 때 중국의 유람선 침몰사고와 수습에는 없는 것이 있다. 피해자 가족들의 현장 접근이다.

중국 당국은 피해자 가족들을 유람선 승객을 모집한 여행사가 있는 장쑤(江蘇)성 난징(南京)과 상하이(上海), 충칭(重慶) 등에서 구조 소식을 기다리도록 했다.

애타게 생환소식을 기다리다 못해 젠리현으로 달려가 구조현장인 양쯔강변으로 향하는 가족들의 접근을 통제하면서 수십㎞ 떨어진 임시 숙소에 머물게 하고 있다.

내외신 언론에도 사고 현장 취재를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병원에 입원한 생환자나 피해자 가족들에 대한 접근도 통제했다.

중국 당국이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며 신속한 대응에 나서 호평을 받기도 했지만, 이 과정에서 피해자 가족들의 참여를 배제한 점이 향후 사고처리에 ‘변수’로 남아있다. 외신들은 가족들이 정부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여기에 둥팡즈싱호 소속사인 충칭둥팡룬촨(重慶東方輪船)공사가 국유기업인데다 사고 선박이 수차례 불법 개조됐고 비상구조 요청시스템도 작동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정부도 관리감독 책임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전날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사고원인을 엄정하게 조사해 한 점의 의심도 없이 철저히 규명하라”고 지시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사고 원인조사 대상인 선장과 기관장, 선박회사 등과 더불어 관련 기관들도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