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힐러리노믹스 선언 뒤 잇따라 경제개혁 강조
미국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의 금융중심지 ‘월가’의 개혁을 촉구해 눈길을 끌었다.지난 13일 중산층 소득 향상과 월가 규제에 초점을 맞춘 경제구상을 발표한 데 이어 두 번째 경제개혁 관련 정책 구상을 내놓은 것이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월가 인근에 있는 뉴욕대학교 연설에서 자본이득세를 늘리고, 월가 금융기관의 최고경영자 등에게 주는 막대한 규모의 보상금(보너스) 관행을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미국의 기관투자자(대형은행)들은 ‘먹고 튀는’ 한탕주의 관행을 철폐하는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주식매매 과정이 더욱 투명해져야 한다”면서 “미국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과 장기 투자를 희생시키면서 단기 투자를 부추기는 현재의 관행은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는 기업활동, 임금, 미국 경제 모두에 해로운 일”이라며 “현재의 미국 세제 관련 법률은 기업과 은행들이 단기 차익만을 노리도록 허용하거나 조장하고 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이는 미국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은 물론 중산층의 소득 향상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특히 클린턴 전 장관은 “회사와 노동자들은 고통을 당하고 있는데도 회사의 고위직 임원들만 부를 축적하는 잘못된 관행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해마다 월가 등을 중심으로 이어지는 고위직의 막대한 ‘보너스 잔치’를 문제삼았다.
이어 그는 “정부도 이미 번창하고 있는 정유업계 등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 정책을 중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 13일 진보적 학풍으로 유명한 뉴욕 맨해튼 소재 뉴스쿨에서 연설하면서 중산층 소득 향상과 월가 규제에 초점을 맞춘 경제구상을 발표했다.
당시 연설에서도 클린턴 전 장관은 “자본이득세를 장기 투자자에게 이롭도록 손질하는 방안을 곧 제시하겠다”면서 “장기 투자로 고용 창출 등에 이바지하는 자본가는 한탕을 노리는 단기 투자자와 당연히 다르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