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테러 14주년…미국 전역 추모 물결

9·11테러 14주년…미국 전역 추모 물결

입력 2015-09-12 02:04
수정 2015-09-12 0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라운드 제로’서 유가족들 3천명 희생자 이름 불러

9·11테러로 목숨을 잃은 3천여 희생자들의 이름이 11일(현지시간) 다시 미국인들의 가슴 속에 돌아왔다.

미국인들은 9·11테러 14주년을 맞아 ‘테러와의 전쟁’의 시발점이 된 2001년 그날의 끔찍했던 악몽과 희생자들을 떠올리며 또다시 마음을 하나로 합쳤다.

여객기의 충돌로 무너져내린 뉴욕 맨해튼 월드트레이드센터 자리에서 열린 추념식을 비롯해 크고 작은 행사가 잇따르며 전국이 추모 물결에 덮였다.

’그라운드 제로’에 들어선 9·11추모박물관에서 거행된 추념식은 월드트레이드센터 북쪽 건물에 여객기가 처음 충돌한 시각인 오전 8시 46분 시작됐다.

참석자들이 사이렌 소리에 일제히 고개를 숙이고 묵념한 후 유가족들이 차례로 연단에 서서 3천여 희생자들의 이름을 일일이 불렀다.

추념식이 끝난 오후에는 일반 시민이 밀려들었다.

매년 그랬듯 올해도 이날 밤늦게까지 2만여 명이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저녁에는 무너진 두 빌딩을 상징하는 두 개의 광선을 공중으로 쏘아 올리는 행사가 펼쳐질 예정이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백악관 ‘사우스 론’에서 부인 미셸 여사와 백악관 직원들과 함께 추모의 시간을 가졌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어 메릴랜드 주(州) 포트미드의 군 기지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한다.

9·11테러 때 납치된 비행기 4대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항공 93편이 추락한 펜실베이니아 주 섕크스빌에는 전날 ‘플라이트93 국립추모전시관’이 문을 열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 비행기에 탑승했던 승객과 승무원은 미 의사당을 공격하려던 테러범과 맞서 싸우면서 비행기를 섕크스빌의 들판에 추락시켜 더 큰 피해를 막았다.

오하이오 주 의회는 희생자 수를 상징하는 3천 개의 국기를 내걸었고, 주요 도시에서 열린 미 프로야구 경기장에서도 사이렌 소리 속에 선수와 관중들이 잠시 고개를 숙여 추모 대열에 동참했다.

워싱턴 D.C.의 미 의회에서는 9·11추모박물관 운영 예산 일부를 매년 국고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하원 천연자원위원회의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뉴욕 소방박물관에는 9·11테러 때 구조작업 중 희생된 소방관들을 기리는 행사가, 저녁에는 뉴욕 브루클린교 인근 공원에서 추모 콘서트가 각각 열릴 계획이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