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등 민주 후보들, 규제 목소리에 가세…공화 후보 “정치 선동 말라”
10명이 숨진 미국 오리건 주 대학 총기난사 사건으로 내년 대선을 앞두고 총기 규제가 다시 미국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대선 후보들이 일제히 총기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반면, 공화당 후보들은 총기 규제 주장을 비난하거나 입을 다물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총기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이제 정말로 뭔가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눈물이 맺힌 듯한 침통한 표정의 오바마 대통령은 “왠지 이런 총기 난사는 이제 일상(routine)이 됐고 우리는 무감각(numb)해졌다”며 “여기 단상에서 내가 이렇게 반응을 내놓는 것 또한 결국 일상이 되고 있다”고 개탄했다.
그는 “불과 몇 달 전에도 이런 사건과 관련해 얘기했다”고 개탄하며 단지 생각과 기도, 바람만으로는 추후 또 발생할지 모를 유사한 사건들을 결코 막아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다른 사람을 해치고자 하는 누군가의 손에 총이 이토록 쉽게 쥐어지지 못하도록 법을 바꿔야 한다”며 총기 규제 입법의 필요성을 강력히 주장했다.
특히 “이런 일은 나 혼자서 할 수 없다. 이 문제에 대해서 의회와 주 의회, 주지사들이 나와 함께 일을 해야 한다”고 총기 규제를 가로막는 공화당을 겨냥했다.
민주당 대선 경선의 선두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도 “이 같은 대량 살인이 다시 또다시 벌어지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합리적인 총기 규제 조치를 촉구했다.
CNN방송에 따르면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보스턴 유세에서 “총기가 잘못된 사람들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생명을 구하는 합리적인 총기 규제 조치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여러분도, 나도 안다”고 밝혔다.
클린턴 전 장관을 맹추격 중인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도 “우리는 이 무분별한 살육의 끔찍한 전염을 끝내기 위해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며 총기 규제 강화를 주장했다.
그는 이 밖에도 정신 건강 관련 제도 개선, 미디어의 불필요한 폭력 묘사 개선 등을 촉구했다.
마틴 오맬리 전 메릴랜드 주지사도 “트위터나 생각, 기도로는 이것(총기난사)이 끝나지 않는다”며 “진정한 총기규제 개혁만이 거의 매일 일어나는 총기난사를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공화당 경선 후보인 마이크 허커비 전 아칸소 주지사는 오바마 대통령의 연설에 대해 “좋게 봐도 설익었고 나쁘게 보면 맹목적으로 선동적인 것”이라고 혹평했다.
그는 “총기 금지 지역은 손쉬운 목표(sitting duck) 지역이 된다는 점은 명확하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총기난사 비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벤 카슨 후보도 보수주의 라디오 방송에 나와 “문제는 (범인과 같은) 이런 이들의 정신상태”라며 “분명히 이(총기규제)는 이슈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 밖에 공화당 내 선두주자인 도널드 트럼프와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는 각각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를 표시했다.
마르코 루비오(플로리다) 상원의원 캠프는 모든 사실을 파악하기 전에는 논평하지 않겠다고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한편 미국 웹사이트 ‘총기난사 추적자’(Mass Shootings Tracker) 집계에 따르면 올해 총 294일 동안 274건, 즉 거의 하루 평균 1건에 가까운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했다고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또 2013년 1월 오바마 집권 2기 이후 지금까지 단 한 주도 총기난사 사건이 일어나지 않은 주가 없었다고 WP는 지적했다.
앞서 이날 미국 오리건 주 로즈버그의 엄프콰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크리스 하퍼 머서(26)가 총기를 학생 등에 무차별 난사해 9명을 살해하고 자신도 숨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