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문제 전도사’로 잘 알려진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번 파리 기후협정 협상 타결 과정에서도 막판 위기를 해결한 풀어낸 ‘구원투수’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마지막 날인 12일(이하 현지시간) 일부 참가국들의 제동으로 협상이 진통을 겪자 교황이 나서서 반대를 누그러뜨린 것으로 전해졌다고 영국 BBC 방송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막판에 협상이 어려워진 것은 미국이 최종 합의문의 한 단어를 문제삼아 수정을 시도했기 때문이었다.
미국 측은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해야 한다’(shall)는 대목이 법적 강제성을 띄는 것으로 해석돼 의회를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좀 더 완곡한 표현인 ‘should’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
이 때문에 최종 타결이 수 시간 가량 늦춰지자 다른 참가국들도 잇따라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합의문을 수정하려 나섰다.
터키가 합의문의 요구 항이 지나치다고 불평했고 니카라과도 합의문에서 기후 문제 해결에 필요한 내용과 향후 조치가 상응하지 않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다른 일부 참가국들도 동조하면서 협상이 난관에 빠지는 분위기가 퍼졌다.
BBC에 따르면 이때 교황이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해서 협정을 꼭 타결해야 한다고 간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인지 정확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니카라과는 결국 반대를 거뒀고 산고 끝에 세계 195개국이 참여하는 첫 지구적 기후협약인 파리 협정이 무사히 태어났다.
아르헨티나 출신 프란치스코 교황은 54년 만에 이뤄진 미국-쿠바 국교정상화 과정과 콜롬비아 내전 종식을 위한 정부와 반군 평화협상에서 막후 중재자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황은 작년에 오르테가 대통령이 1979∼1990년 이끈 좌익 산디니스타 정권에 외무장관으로 참여했다는 이유로 정직 처분을 받은 미겔 데스코토 브로크만(82) 신부를 29년 만에 복권시켜주는 등 오르테가 대통령에 호의적인 제스처를 보내기도 했다.
교황은 취임 이후 기후문제를 자신의 최대 관심사로 삼아 지난 9월 미국 첫 방문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구촌이 기후문제 대응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는 이번 파리 기후총회 개막에 즈음해서도 기후문제가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심하게 말하면 세계는 자살하기 직전의 경계에 서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마지막 날인 12일(이하 현지시간) 일부 참가국들의 제동으로 협상이 진통을 겪자 교황이 나서서 반대를 누그러뜨린 것으로 전해졌다고 영국 BBC 방송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막판에 협상이 어려워진 것은 미국이 최종 합의문의 한 단어를 문제삼아 수정을 시도했기 때문이었다.
미국 측은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주도‘해야 한다’(shall)는 대목이 법적 강제성을 띄는 것으로 해석돼 의회를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좀 더 완곡한 표현인 ‘should’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
이 때문에 최종 타결이 수 시간 가량 늦춰지자 다른 참가국들도 잇따라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합의문을 수정하려 나섰다.
터키가 합의문의 요구 항이 지나치다고 불평했고 니카라과도 합의문에서 기후 문제 해결에 필요한 내용과 향후 조치가 상응하지 않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다른 일부 참가국들도 동조하면서 협상이 난관에 빠지는 분위기가 퍼졌다.
BBC에 따르면 이때 교황이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해서 협정을 꼭 타결해야 한다고 간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인지 정확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니카라과는 결국 반대를 거뒀고 산고 끝에 세계 195개국이 참여하는 첫 지구적 기후협약인 파리 협정이 무사히 태어났다.
아르헨티나 출신 프란치스코 교황은 54년 만에 이뤄진 미국-쿠바 국교정상화 과정과 콜롬비아 내전 종식을 위한 정부와 반군 평화협상에서 막후 중재자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황은 작년에 오르테가 대통령이 1979∼1990년 이끈 좌익 산디니스타 정권에 외무장관으로 참여했다는 이유로 정직 처분을 받은 미겔 데스코토 브로크만(82) 신부를 29년 만에 복권시켜주는 등 오르테가 대통령에 호의적인 제스처를 보내기도 했다.
교황은 취임 이후 기후문제를 자신의 최대 관심사로 삼아 지난 9월 미국 첫 방문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지구촌이 기후문제 대응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는 이번 파리 기후총회 개막에 즈음해서도 기후문제가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심하게 말하면 세계는 자살하기 직전의 경계에 서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