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사실상 후보” 선언…NYT “경쟁전당대회 가능성 약화”

트럼프 “사실상 후보” 선언…NYT “경쟁전당대회 가능성 약화”

입력 2016-04-27 10:38
수정 2016-04-27 1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부능선 넘어 8부능선 고지로…크루즈-케이식 제휴 기선제압 효과

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가 26일(현지시간) 치러진 동북부 5개 주(州) 대선 경선에서 완승하면서 선두 주자로서의 독보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트럼프는 ‘운명의 승부처’였던 지난 19일 뉴욕 주에서 압승하며 이 지역 대의원 95명 가운데 89명을 챙기는 괴력을 과시한 데 이어, 이날 펜실베이니아와 메릴랜드, 코네티컷, 로드아일랜드, 델라웨어 등 5개 지역에서 모두 큰 득표 차로 승리하며 파죽지세를 이어갔다.

트럼프는 이날 5곳 전역에서 60% 안팎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완벽한 승리를 이뤄냈다.

구체적으로 개표가 완료된 로드아일랜드와 델라웨어의 득표율은 각각 63.8%, 60.8%였으며 91∼92% 개표 진행 상황에서 코네티컷은 57.8%, 펜실베이니아 56.9%, 메릴랜드 55.0%의 득표율을 보였다.

이번 압승으로 트럼프는 최소 105명의 대의원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후보 자리에 성큼 다가섰다.

누적 대의원을 기존 845명에서 최소 950명으로 크게 늘리면서 ‘매직 넘버’(전체 대의원 2천472명 중 과반인 1천237명)의 76.8%를 달성했다. 7부 능선을 넘어 단숨에 8부 능선을 목전에 두게 됐다.

2위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과의 대의원 격차도 400명 가까이로 벌렸다.

크루즈 의원이 확보한 기존 대의원은 559명으로, 이번 선거 후에도 별다른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미 언론은 크루즈 의원이 이번에 겨우 1명을 추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의 압승으로 (결선투표 성격의) ‘경쟁 전당대회’(contested convention) 가능성이 약화됐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자신도 이날 승리 직후 뉴욕의 트럼프 타워에서 한 승리 연설에서 “나는 이미 나 스스로 사실상 공화당 후보 지명자라고 여기고 있다. 내 입장에서 말하면 경선은 사실상 끝났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의회전문지 더 힐(The Hill)은 앞서 트럼프가 이날 5개 주 대의원 172명 가운데 펜실베이니아의 ‘비구속 대의원’(unbound delegates) 54명을 제외한 118명 중 90명 이상을 챙겨야 자력 과반 확보의 길을 이어갈 수 있다면서 “오늘의 승부가 (대의원 과반 확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숨통을 터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입장에서 이번 승리는 크루즈 의원과 존 케이식 오하이오 주지사가 막판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자신을 협공하는 상황에서 거둔 것이어서 더욱 의미가 크다. 두 주자가 구축한 ‘반(反)트럼프’ 공동전선의 기세를 꺾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캘리포니아를 비롯해 앞으로 남은 10개 주에서도 완벽한 승리를 거둠으로써 자력으로 대선 후보 자리를 꿰찬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AP 통신 등 미 언론도 트럼프가 나머지 지역에서도 이번처럼 압승한다면 과반 달성이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트럼프가 자력으로 대의원 과반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는 여전히 회의적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남은 10개 지역의 대의원은 502명으로, 계산상 트럼프가 평균 6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해야 자력 후보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크루즈 의원과 케이식 주지사가 경선지역 나눠 먹기까지 하며 트럼프 저지 총력전에 나선 터라 60% 득표가 절대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두 사람의 전략적 제휴가 이날 경선이 아니라 인디애나(5월 3일), 오리건(5월 17일), 뉴멕시코(6월 7일) 경선을 겨냥한 것인 만큼 앞으로 이 3곳의 표심이 어떻게 나타나느냐에 따라 트럼프의 운명도 달라질 전망이다.

크루즈-케이식 선거연대가 초반부터 삐걱거리는 조짐을 보이긴 하지만, 일부라도 효과를 발휘해 트럼프가 한곳에서라도 고전하거나 패배할 경우 과반 확보는 한층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여론조사로 봐도 남은 지역에서 압도적 승리를 100% 장담할 수는 없다. 일례로 폭스뉴스의 최근 인디애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트럼프 41%, 크루즈 의원 33%, 케이식 주지사 16% 등으로 크루즈 의원과 케이식 주지사의 지지율을 합치면 트럼프에 8%포인트 앞선다.

이런 가운데 당 주류 진영은 트럼프의 과반 확보 실패에 대비해 경쟁 전당대회나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제3의 인물도 출마할 수 있는 ‘중재 전당대회’(brokered convention)를 준비하고 있으나, 속내는 더욱 복잡해지는 형국이다.

특히 남은 주자 중 그나마 희망을 걸었던 크루즈 의원이 5곳 가운데 펜실베이니아를 제외한 나머지 4곳에서 케이식 주지사에게도 밀려 3위로 추락하자 큰 충격에 휩싸인 모양새다.

주류 진영은 경쟁 또는 중재 전당대회에서 트럼프를 낙마시키고 대신 크루즈 의원이나 폴 라이언(위스콘신) 하원의장과 같은 제3의 인물을 추대한다는 구상이었으나 이마저도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 많다. 더욱이 트럼프의 기세가 워낙 거센 데다가 비록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압도적 1위 주자를 강제로 내치는 데 대한 정치적 부담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다.

명분이 약한 것도 약한 것이지만 자칫 적전분열 속에 대선 본선 자체를 망칠 수 있고, 이 경우 선거 패배의 책임을 주류 진영이 고스란히 떠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