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수출국기구(OPEC)는 2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회의에서 새로운 생산량 상한선을 정하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최종 합의에 실패했다.
앞서 비잔 남다르 잔가네 이란 석유장관은 OPEC 회의에 앞서 기자들에게 산유량을 지금보다 일일 100만 배럴 정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블룸버그 등이 보도했다.
잔가네 장관은 “산유량을 제한하는 것은 이란과 OPEC 모두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서 “이란은 제재 이전 OPEC 전체 산유량의 14.5%를 차지했는데 5년 안에 이 수준으로 산유량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OPEC이 이날 시작된 정례회의에서 새로운 생산량 상한선을 논의한다”고 전했다. OPEC 회원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경제 위기에 처한 다른 산유국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원유 생산량 한도 설정에 찬성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란은 이에 대해 강하게 반대했다. 서방 제재 기간 동안 빼앗긴 시장 점유율을 되찾을 때까지 증산에 나서겠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중동의 라이벌인 사우디와 이란이 이번 회의에서 또다시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모든 결정을 만장일치로 처리하는 OPEC의 특성상 이번 회의에서도 생산량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WSJ는 설명했다.
한편 OPEC은 또 신임 사무총장으로 나이지리아 출신 무함마드 바르킨도 전 OPEC 사무총장을 선출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앞서 비잔 남다르 잔가네 이란 석유장관은 OPEC 회의에 앞서 기자들에게 산유량을 지금보다 일일 100만 배럴 정도 더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블룸버그 등이 보도했다.
잔가네 장관은 “산유량을 제한하는 것은 이란과 OPEC 모두에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서 “이란은 제재 이전 OPEC 전체 산유량의 14.5%를 차지했는데 5년 안에 이 수준으로 산유량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OPEC이 이날 시작된 정례회의에서 새로운 생산량 상한선을 논의한다”고 전했다. OPEC 회원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경제 위기에 처한 다른 산유국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원유 생산량 한도 설정에 찬성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란은 이에 대해 강하게 반대했다. 서방 제재 기간 동안 빼앗긴 시장 점유율을 되찾을 때까지 증산에 나서겠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중동의 라이벌인 사우디와 이란이 이번 회의에서 또다시 격돌할 것으로 보인다. 모든 결정을 만장일치로 처리하는 OPEC의 특성상 이번 회의에서도 생산량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WSJ는 설명했다.
한편 OPEC은 또 신임 사무총장으로 나이지리아 출신 무함마드 바르킨도 전 OPEC 사무총장을 선출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