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떼 버린 클린턴·부시 초상화 다시 백악관 내 ‘그랜드 로비’에 걸려 트럼프, 오바마 초상화는 걸지도 않아 그래도 바이든, 트럼프 초상화 만들듯
2004년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빈 클린턴 전 대통령 부부의 초상화 제막식.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04년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빈 클린턴 전 대통령 부부의 초상화 제막식. 서울신문 DB
미국 백악관 그랜드 로비(Grand Foyer)에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초상화가 다시 걸렸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들 초상화를 떼 창고나 마찬가지인 인적 드문 방으로 보냈던 것을 제자리로 돌려놓은 것이다.
CNN은 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전직 대통령들의 초상화를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배치하는) 백악관의 오랜 전통을 되살렸다”며 두 대통령의 초상화가 조 바이든 대통령이 늘상 지나는 장소에 걸렸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지난해 7월 이들 초상화를 작고 거의 쓰이지 않는 ‘올드 패밀리 다이닝 룸’(Old Family Dining Room)에 옮겨 걸었다. 이 방은 트럼프 집권기 동안 사실상 창고로 쓰였다.
트럼프가 이들 대신 내걸었던 초상화는 공화당 소속인 26대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과 25대 윌리엄 매킨리 전 대통령 초상화였다. 루스벨트에 대해서는 지난해 인종차별 논란으로 동상 철거 움직임이 있었고, 트럼프는 이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또 매킨리는 당시 경기 침체에도 재선에 성공한 대통령이었다. 재선을 바라는 트럼프의 의지가 투영됐던 것으로 보인다.
또 트럼프는 자신이 싫어하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초상화는 아예 걸지도 않았다. 이에 바이든이 트럼프의 초상화를 내걸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달 8일 “우리는 (전임 대통령의 초상화 제막식을 열고 백악관 로비에 내거는) 전통과 결별할 거라는 어떤 암시도 받지 못했다”며 트럼프 초상화 제작이 진행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
전임 대통령의 초상화 제막식을 열고, 전시한 것은 1966년부터 시작된 전통이라고 CNN이 전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