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요지부동… 트럼프 “우크라 휴전, 그들이 협상할 수밖에”

푸틴 요지부동… 트럼프 “우크라 휴전, 그들이 협상할 수밖에”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5-05-21 01:56
수정 2025-05-21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시간 통화에도 돌파구 못 찾아
美 ‘직접 중재’에서 발 빼나 해석
푸틴 “위기 원인 제거해야” 고수
트럼프 “바티칸, 협상 주최 관심”

이미지 확대
2017년 6월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통화 중인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 대통령과 2021년 12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해 수화기를 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 연합뉴스
2017년 6월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통화 중인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 대통령과 2021년 12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해 수화기를 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2시간 넘게 통화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을 위한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미러 양측 모두 “화기애애한 통화”였다고 밝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성과 없이 푸틴 대통령에게 설득당했다는 관측마저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통화 후 트루스소셜에 “아주 잘 진행됐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즉시 휴전 및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작 협상 조건에 대해서는 “양측이 다른 누구도 알지 못하는 협상의 세부 사항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협상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에 미국이 기존의 ‘직접 중재’에서 발을 빼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또 “러시아는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원한다”, “우크라이나도 재건 과정에서 무역의 큰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적는 등 협상 이후 ‘잿밥’인 무역에 관심을 표했다.

푸틴 대통령 역시 자국 매체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측에 향후 가능한 평화 협정 각서를 제안하고 협력할 준비가 됐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구체적인 휴전 시점, 실행 계획 등도 언급하지 않았다.

미러 정상의 통화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세 번째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양보 없이 ‘즉각 휴전’에 여전히 부정적이었고, 트럼프 대통령도 앞서 ‘즉각 휴전 선언’, ‘새 금융 제재 가능성’ 등 러시아를 압박했던 것과는 한층 온도차를 보였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의 진전을 방해하는 핵심 요구사항에 대해 푸틴이 물러섰다는 징후를 밝히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도 “트럼프의 협상 수완에 대한 믿음이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분열, 복잡한 정치적 동기들에 부딪친 것”이라고 평가했다.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교황 레오 14세 즉위 직후인 교황청이 직접 중재에 나설지도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트루스소셜에 “바티칸은 협상 주최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이제 협상을 시작하자”고 올렸다. ‘미국이 중재에서 한발 물러서는 의미’라는 지적에 그는 백악관 문답에서 아니라고 부인하며 “(휴전 논의를) 바티칸에서 개최하면 좋을 것 같다.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며 “훌륭한 아이디어”라고 해명했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한 후 전쟁 당사국과 미국, 유럽연합(EU) 등이 참여하는 ‘다자간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2025-05-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