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25% 자산 100분의1뿐… 빈부差 심화
중국의 상위 1% 가구가 국내 자산의 3분의 1 이상을 보유한 반면 하위 25% 가구는 국내 자산의 100분의 1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중국 내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베이징대 중국사회과학조사센터가 중국 가구의 보유 자산, 소비 지출 정도 등을 조사해 발간한 ‘2014 중국 민생발전보고서’에서 이 같은 결론이 나왔다고 홍콩 명보가 27일 보도했다.
보고서는 중국 내 자산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중국 가구 순자산 지니계수가 1995년 0.45에서 2002년 0.55, 2012년 0.73으로 높아져 심각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13년 전국 주민 소득 지니계수는 0.473이며, 이번 조사로 볼 때 당국의 발표는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부동산 등 보유 자산과 소비·지출 요인 등을 기준으로 중국의 가구 형태를 ▲향락형 ▲안정형 ▲달팽이형 ▲개미형 ▲빈곤·질병형 등 5개로 분류했다. 향락형은 현금과 빌딩을 다량 보유하고 오락과 교육에 거침없이 돈을 쓸 수 있는 부자들을 말한다. 신문은 2013년 기준 투자 가능 자산이 100만 달러(약 10억 2000만원)가 넘는 중국 부자는 75만 8000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안정형은 수입에서 의료·주택에 대한 지출 비율이 낮고 일정한 교육과 오락 소비를 즐기는 중산층을 말한다.
달팽이형은 체구보다 더 큰 집을 이끌고 힘겹게 기어가는 달팽이에 빗댄 말로 대부분의 수입이 주택 대출, 교육비, 의료비 등에 사용되며 명품과 레저를 즐길 돈은 없는 중산층 가구를 말한다.
소비 수준이 낮은 차상위계층을 개미처럼 사는 개미형으로, 소비 수준은 최저이면서 의료지출 비중은 높은 극빈층을 빈곤·질병형으로 분류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7-2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