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개혁잡지 ‘남방주말’ 씁쓸한 시진핑 특종

[World 특파원 블로그] 개혁잡지 ‘남방주말’ 씁쓸한 시진핑 특종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12-06 22:44
수정 2015-12-06 23: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에선 드물게 진보 성향으로 평가받았던 광둥성 주간지 남방주말(南方周末)이 최신호에 ‘시진핑 개혁 3년’이라는 1만 3000자짜리 커버스토리 기사를 실었다. 2013년 12월 7일부터 닷새 동안 선전(深?) 등 개혁·개방 특구를 돌아본 시 주석의 ‘남순’(南巡) 3주년을 기념해 쓴 기사다.

기사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시 주석의 발언이 많이 나온다. 2013년 18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 시 주석이 시장에 자원 배분의 ‘결정적 역할’을 부여한 점, 중국을 타이태닉호에 비유하면서 “작은 배는 침몰해도 다시 띄울 수 있지만, 큰 배는 그럴 수 없다”고 말한 점, 중앙전면개혁심화영도소조 등을 직접 챙기는 이유에 대해 “특정 부서에 맡겨 놓으면 일이 되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 등이다. “당이 무너지면 그 어떤 업적도 의미가 없다”며 공산당 통치 강화를 역설한 발언도 소개됐다.

최고 지도자의 발언을 ‘특종’ 보도한 것은 나름대로 의미 있는 일이나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 진보 매체가 관변지로 변질됐음을 알리는 이정표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사실 국가주석의 ‘발언 특종’은 인민일보와 신화통신의 전유물이었다. 지난 4일 시 주석의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연설을 보도하며 ‘치사’란 의미의 ‘즈츠’(致詞) 대신 발음이 비슷하지만 ‘사직’을 뜻하는 ‘츠즈’(辭職)를 쓴 반관영 통신사 중국신문사의 기자 4명이 정직 처분을 받았을 정도로 지도자 발언은 엄격하게 관리된다.

남방주말 기자들은 2013년 1월 입헌정치 실현과 당의 권한 제한을 골자로 하는 신년호 사설이 당국의 개입으로 제목이 바뀌고 내용이 수정되자 파업에 돌입해 전 세계의 관심을 받았다. 이후 파업을 주도한 간부와 기자는 모두 쫓겨났다. 남방주말, 남방도시보, 21세기경제보도 등을 발행하는 남방미디어그룹은 “부정적인 보도를 강력히 제한하고 긍정적인 뉴스만 보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강골 기자들을 깨끗이 정리한 광둥성 선전부장 퉈전(?震)은 중앙선전부의 2인자로 최근 승진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12-0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