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드라마 역사상 최고 히트작으로 평가되는 반부패 소재 드라마 ‘인민의 이름으로’(人民的名義)가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5일 신경보에 따르면 중국 소설가 류산톈(劉三田)이 최근 ‘인민의 이름으로’의 원작 소설(제목 같음) 작가 저우메이썬(周梅森)과 드라마 제작사 대표 등 8명에 대해 1800만 위안(약 30억 3000만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상하이 푸둥 법원에 제기했다. 류산톈은 소장에서 “‘인민의 이름으로’가 내가 2010년 출간한 장편 소설 ‘암상’(暗箱)의 줄거리와 구성을 대부분 베꼈다”고 주장했다. 류산톈은 ‘인민의 이름으로’ 방송 금지, 원작 소설 판매 금지 등도 요구했다.
2010년 출간된 소설 ‘암상’(왼쪽)과 2015년 출간된 ‘인민의 이름으로. 신경보 홈페이지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0년 출간된 소설 ‘암상’(왼쪽)과 2015년 출간된 ‘인민의 이름으로. 신경보 홈페이지 캡처
이에 대해 저우는 “이 드라마가 최근 인터넷에서 다시 인기를 끌고 수출 계약까지 체결된 시점에서 나온 음해”라고 반발했다. 저우는 “암상이란 소설은 들어 본 적도 없다”면서 “암상을 베낀 부분을 발견하는 사람에게는 개인적으로 10만 위안을 주겠다”고 밝혔다.
‘인민의 이름으로’는 지난 3월 28일에 처음 방영돼 4월 28일 종영한 52부작 반부패 드라마다. 최고인민검찰원 반부패국 조사처 처장이 온갖 외압 속에서도 고위 공직자의 부정부패를 처벌하는 내용으로, 시청률이 10년 이래 최고인 8%까지 올랐다. 중국에선 시청률이 2%만 되도 인기 드라마에 속한다. 온라인 조회수는 220억회에 이르렀다. 방영 당시 일각에서는 중국 공산당 제19차 당대회를 앞두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반부패 치적을 부각하기 위해 제작된 드라마라는 평가도 나왔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