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신문 DB
현대자동차를 대표하는 중형 세단 ‘쏘나타’.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자동차산업에 대한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무디스는 11일(현지시간)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세계 경제성장 둔화, 예상보다 양호했던 지난해 말 실적, 정치적 불확실성이 올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에 타격을 가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CNBC가 전했다.
무디스는 올해 전 세계 자동차 판매가 지난해보다 0.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전 전망치인 1.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내년에도 판매 증가율은 0.8%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판매는 올해 3% 가까이 줄고 내년에도 0.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오랫동안 자동차 판매를 떠받쳤던 금융 여건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미국의 보복관세 위협,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불안도 자동차산업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세계 자동차산업은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자율주행, 커넥티드카(양방향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한 차량), 안전기능 강화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가운데 판매 둔화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산업은 더 엄격해진 배출가스 규정 등 환경규제 강화에도 직면해 있다.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인 중국에서 8개월 연속 자동차 판매 하락세를 지속되고 있다. 12일 중국자동차제조협회에 따르며 중국의 2월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8%나 급감한 148만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에도 자동차 판매량이 13%나 줄었고 올 1월에도 16% 감소했다. 다만 정부 보조금 혜택에 힘입어 2월 전기자동차 등 신재생에너지 차량 판매는 53.6% 늘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