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움 벗고 ‘명랑함’으로… “이번엔 웃으며 쓴 글이에요”

무거움 벗고 ‘명랑함’으로… “이번엔 웃으며 쓴 글이에요”

입력 2013-03-22 00:00
수정 2013-03-22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6개 단편 묶은 소설집 ‘달에게… ’ 펴낸 신경숙 작가

이미지 확대
신경숙 작가
신경숙 작가
“어제도 달이 떴었나요? 오래 전 산책하다 무심코 하늘을 봤습니다. 말간 밤하늘에 둥그렇게 뜬 달이 내려다 보더군요. 알아들을 수 있던 달의 말은 무안하게도 ‘글 좀 재밌게 쓸 수 없냐’는 타박이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작가 신경숙(50)이 1년 4개월 만에 신작 소설집 ‘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문학동네 펴냄)를 펴냈다. 모성을 상징하는 달에게 들려줄 내 이야기, 혹은 달이 내게 들려줄 법한 이야기란 뜻이다. 작가는 세계 33개국에서 번역 출간한 밀리언셀러 ‘엄마를 부탁해’로 세계 유명작가 대열에 오른 터다. 그런데 뜬금없이 ‘명랑’이란 소재를 들고 나왔다. 장기불황의 터널이 작가의 글에도 영향을 끼친 탓일까. 실제 1930년대 대공황은 미국에서 유난히 짧은 단편인 ‘명랑소설’의 유행을 불러왔다.

21일 서울 마포구 동교동의 한 카페에서 가진 출간간담회. 작가는 “명랑함 없이 무엇에 의지해 끊어질 듯 팽팽하게 긴장된 삶의 순간순간을 밀어내며 앞으로 나가겠냐”고 되물었다. 그러면서도 “내 글쓰기의 방향을 완전히 그쪽으로 틀 수 없는 것을 잘 안다. 기존 작품들이 주는 무거움이 지탄처럼 들릴 때가 많았기에 이번 작품이 숨통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소설집은 ‘깊은 슬픔’, ‘외딴방’, ‘엄마를 부탁해’를 썼던 작가의 글이라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다. 예쁜 삽화를 곁들인 26편의 단편이 각기 동화나 콩트를 연상시킨다. 편당 원고지 12~15장에 불과하다. 작가 스스로도 “이걸 소설이라고 하는 게 맞을까”라며 장르를 규정짓지 못했다.

약속시간에 늦은 친구가 “오늘 예쁘다는 말을 들었다”고 자랑하는 모습을 보며 흐뭇해 하는 주인공(‘우리가 예쁘다는 말을 들을 때’)이나 화가 고흐의 얘기를 들으며 마음의 상처를 달래는 미대 재수생 소녀 ‘선’(‘하느님의 구두’)의 이야기가 그렇다.

작가는 ‘다소 가볍다’는 지적에 “5년 전 지금은 폐간된 한 서평지 편집장이 ‘손바닥만한’ 글을 ‘자유롭게’ 써보자고 해 매달 한 편씩 2년간 연재했던 글을 모은 것”이라며 “심각하지 않게 애정을 담아 함박 웃으며 썼던 글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레이먼드 카버같은 영미권 작가의 단편은 말 그대로 단순한 내용의 ‘쇼트 스토리’다. 그런데 국내 작가들이 써내는 단편의 밀도는 해외 장편과 다를 바 없다”며 “앞으로 웃음과 절절함이 함께 거울처럼 마주보는 빛나는 작품을 쓰겠다”고 말했다. 작가의 다음 작품은 장편소설이다. 어느 날 갑자기 앞을 못 보게 된 사람의 이야기나 4개의 사랑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담아볼 계획이란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3-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