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올해 1년 동안 전자책 체험공간을 시범 운영한다.
젊은층이 많이 유입되는 서울 홍대입구에 출판사가 운영하는 북카페 3곳과 전자책 이용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지역의 도서관 및 학교 각각 2곳 등 전국 7곳에 120대의 전용 단말기와 5300여권의 전자책을 배포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총 1만여권의 책을 전자책 체험에 제공할 계획이다.
후마니타스와 위즈덤하우스, 자음과모음 등 북카페와 4곳의 도서관, 학교 등에는 진흥원 선정 ‘이달의 읽을 만한 책’을 포함한 양질의 전자책을 담은 전자잉크 기반 전용 단말기가 배치되며 방문객은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강원도 정선교육도서관, 충주시립관, 울릉고등학교, 전남 해남제일중학교 등에서는 전자책을 활용한 독서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당 학교 교사와 정선교육도서관의 사서들이 전용 단말기에 담길 전자책 선정 과정에 참여했다. 문체부와 진흥원은 체험 공간 이용객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해 전자출판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에 활용하고,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전국적인 전자책 보급 확대도 추진할 예정이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젊은층이 많이 유입되는 서울 홍대입구에 출판사가 운영하는 북카페 3곳과 전자책 이용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지역의 도서관 및 학교 각각 2곳 등 전국 7곳에 120대의 전용 단말기와 5300여권의 전자책을 배포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총 1만여권의 책을 전자책 체험에 제공할 계획이다.
후마니타스와 위즈덤하우스, 자음과모음 등 북카페와 4곳의 도서관, 학교 등에는 진흥원 선정 ‘이달의 읽을 만한 책’을 포함한 양질의 전자책을 담은 전자잉크 기반 전용 단말기가 배치되며 방문객은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강원도 정선교육도서관, 충주시립관, 울릉고등학교, 전남 해남제일중학교 등에서는 전자책을 활용한 독서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당 학교 교사와 정선교육도서관의 사서들이 전용 단말기에 담길 전자책 선정 과정에 참여했다. 문체부와 진흥원은 체험 공간 이용객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해 전자출판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에 활용하고, 이번 시범 운영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전국적인 전자책 보급 확대도 추진할 예정이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1-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