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문화재단-한국작가회의 공동 주최 ‘2016년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서정시의 거점으로 불리지만 사회 현실에 적극 소리를 냈던 박두진, 친일 행적으로 문학사에선 지워졌지만 전방위적 글쓰기로 일본에서 더 주목하는 시인 김종한, 스스로 ‘최후의 분대장’으로 불리길 원했던 독립운동가이자 소설가인 김학철(사진)?.
곽효환 대산문화재단 상무는 3일 간담회에서 “대중적으로 친숙한 이름은 박두진 시인이지만 한 사람 한 사람이 문학사적으로나 문학적 작업 면에서 놀랍고 당혹스러울 정도로 새로운 지평을 이룬 인물들”이라고 말했다.
시인이자 평론가, 출판기획자 등으로 경계를 넘나들며 활약했던 김종한은 국내에서는 친일 작가로 찍히며 배제됐지만 김수영 시인이 모더니즘의 기수로 높이 평가한 작가다. 일본에선 2005년 우리보다 먼저 전집을 출간했을 정도로 관심이 크다.
소설가 김학철은 우리 문학사에서 보기 드문 혁명적인 작가다. 독립 투쟁을 하며 남북한, 만주, 일본 등 동아시아를 아우른 정치 망명자이자 디아스포라 작가로 ‘격정시대’ ‘20세기의 신화’가 대표작이다. 이영도는 청마 유치환과 주고받은 5000여통의 연서와 서간집 ‘사랑하였으므로 행복하였네라’로 잘 알려진 여성 시조 시인이다. 유치환과의 사랑을 통해 전통적 윤리와 현대의 가치인 개인의 자유 사이에서 갈등하며 새로운 시적 주체를 탄생시켰다.
오는 12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 23층 세미나실에서는 심포지엄이 개최되고, 13일 연희문학창착촌에서는 이들의 작품을 마임, 낭송, 영상, 무용 등의 공연으로 펼치는 ‘문학의 밤’이 마련된다. 10월부터 내년 1월까지 교보문고 광화문점과 경기 용인 포은아트갤러리에서는 화가 8명이 청록집 수록 시 39편을 그림으로 옮긴 시그림전이 열린다. (02)721-3202.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