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색은 지겹다.”는 카레 광고 속 불평처럼 노란색 가루 일색이던 카레 시장에 고정관념을 깬 3세대 카레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일제 강점기인 1940년 ‘S&B’와 ‘하우스 카레’ 등 일본 제품이 한국에 처음 소개되면서 국내 카레의 역사는 시작됐다. 1969년 오뚜기는 한국 사람의 입맛에 맞춘 ‘분말 즉석 카레’를 내놓았고, 1년 만에 일본 제품을 압도하며 시장을 선도했다. 81년에는 뜨거운 물이나 전자레인지에 바로 데워 먹을 수 있는 레토르트 형의 ‘3분 카레’가 나왔다. 오뚜기의 ‘3분 카레’는 간편식으로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형태는 분말형과 고형으로, 맛은 매운 맛·순한 맛 등으로 다양화되어 사랑받던 카레는 2001년 주성분인 강황이 암세포를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건강식으로 폭발적 인기를 끌었다. 2006년 600억원 규모였던 국내 카레 시장은 지난해 1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카레 시장이 커지자 다양한 입맛과 취향을 고려한 3세대 카레가 나오기 시작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5월 인도식의 빨간색 카레 ‘인델리 커리’로 카레 색깔 혁명을 일으켰다. 대상은 취향에 따라 카레 맛을 조절할 수 있는 ‘카레여왕’을 최근 내놓았다. 구운 쇠고기 뼈를 기본으로 한 프랑스식 ‘퐁드보 육수’와 매운 맛을 조절하는 ‘스파이서’를 별도로 구성해 매운 맛 조절이 가능하도록 했다. 가루도 ‘스노 과립’ 형태로 끓는 물에 바로 녹는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1-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