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벽돌, 담쟁이덩굴] 현실

[붉은벽돌, 담쟁이덩굴] 현실

입력 2010-06-20 00:00
수정 2010-06-20 1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둘째 아들까지 군대에 보내고 난 뒤 아내와 서해로 철 이른 바다 나들이를 갔습니다. 오랜만에 탁 트인 바다가 보고 싶어서, 그럼 아이들 생각도 덜 나고 갇혀 있던 마음도 확 풀릴 것 같아서…. 그런데 정작 바다와 마주하자 금세 천안함이 떠올랐고, 이어 46명의 꽃다운 장병들이 생각났습니다. ‘내 아들들, 내 새끼들…. 그 부모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도저히 남의 얘기 같지 않았고, 멀리 수평선에 걸려 있는 어선조차도 그 군함처럼 보였습니다. 저희같이 자식을 군에 보낸 부모만 이런 생각을 하지는 않겠지요.

이미지 확대
6월입니다. 올해로 6·25가 발발한 지 정확히 60년이 지났습니다. 종전이 아닌 휴전 상태로 남과 북이 갈려 있는 21세기의 유일한 분단국가.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모르는 분단의 현실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우리의 머리와 가슴속에 어느덧 두터운 망각의 이끼가 낀 것은 아닌지….

전쟁을 겪지 않은 저희 세대는, 어릴 적 어머니가 군인 시체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고 피비린내가 진동했다던 서울 원남동 거리를 떠올릴 때면 애써 고개를 돌렸습니다. ‘또 그 얘기… 이젠 지겹지도 않나? 그래서 뭐 과거로 돌아가자는 거야? 우리에겐 남북을 뛰어넘어 활기차게 나가야 할 세계와 미래가 있는데….’

결국 둘 다 현실이겠지요. 휴전 상태도, 미래 지향도.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는 자 미래를 꿈꿀 자격이 없다’는 말이 생각납니다. 군대 보낸 자식들이 몸 건강히 잘 다녀오기만을 간절히 바라는 부모의 마음, 이것이 요즘 우리의 현실일 것입니다.

발행인 김성구(song@isamtoh.com)





2010년 6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