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동래 권번(券番)의 마지막 예기(藝妓), 유금선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 동래학춤 구음(口音) 보유자가 지난달 30일 오후 10시 폐암으로 별세했다. 83세.
유금선 동래학춤 구음 보유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금선 동래학춤 구음 보유자
1931년 부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8살 때 부모를 잃고 14살 때 동래 권번에 입적했다. 이후 박기채, 채장술, 강창범, 공기주에게서 소리를 배우며 ‘춤을 부르는 소리꾼’으로 이름을 날렸다. 그의 목청은 판소리, 시조, 단가, 육자배기, 가요, 엔카 등 장르를 넘나들며 거칠 것이 없었다. 특히 ‘학을 비상케 하는’ 절묘한 소리를 인정받아 1993년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 동래학춤 구음 보유자로 지정됐다. 고인은 지난해 9월 폐암으로 투병 중이면서도 휠체어에 몸을 의지해 ‘해어화’(解語花) 공연에 출연, 구성진 가락을 뽐냈으나 끝내 병마를 이기지 못했다. 장례식장은 부산 광혜병원. 발인은 2일 오전 8시 30분. 노제는 2일 오전 9시 동래민속관.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7-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