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부고]

입력 2010-08-24 00:00
수정 2010-08-24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현옥(서울신문·스포츠서울 인창지국장)씨 부친상 23일 한양대 구리병원, 발인 25일 오전 6시 (031)556-2430

●김희일(민주평통 상임위원)용복(서울시한의사회 수석부회장)씨 모친상 2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5일 오전 (02)2227-7547

●유세희(전 한양대 부총장)씨 모친상 하만경(미국 루이스앤클라크대 명예교수)씨 장모상 김문자(한양대 명예교수)씨 시모상 23일 한양대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2)2290-9457

●배정운(한국철강신문 회장)정현(미국 거주·의사)정희(한솔섬유 고문)정호(전 경동보일러 감사)씨 모친상 윤우현(전 삼성전관 전무)씨 장모상 22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25일 오전 9시 (02)3410-6915●조재화(사업)재복(중외홀딩스 정도경영실장·이사)씨 모친상 21일 대구 현대병원, 발인 25일 오전 7시 (053)644-1918

●김대경(미국 거주)충실(청은학원 사무국장)씨 부친상 박재련(서울공연예술고 교장)씨 장인상 23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발인 25일 오전 7시 (02)2227-7580

●손성락(서울경제신문 대구주재 기자)영락(대구 동부도서관)씨 부친상 권태영(자영업)씨 장인상 23일 영남대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 (053)620-4246

●이성구(자영업)준구(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씨 모친상 김기연(자영업)씨 장모상 23일 서울대병원, 발인 25일 오전 8시30분 (02)2072-2014

●황성태(경기도 문화관광국장)씨 장인상 22일 경남 함양장례식장, 발인 24일 오전 10시 (055)964-1591

●박현삼(MBC 글로벌사업본부 부장)씨 모친상 22일 성남 도원병원, 발인 24일 오전 11시 (031)781-0544

●이기화(전 한국일보 공무담당 이사)씨 별세 강호(미국 거주·사업)유호(삼성SDS)씨 부친상 김창민(국립암센터 내과의사)엄인웅(서울 인치과원장)씨 장인상 23일 서울대병원, 발인 26일 오전 6시 (02)2072-2020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장준영(사업)준혁(〃)씨 부친상 김돈수(연합뉴스 정보사업부 차장대우)씨 장인상 2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5일 오전 7시30분 (02)3010-2265
2010-08-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