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신청사 건축학 개론] 에너지 효율 24.5%… 1등급 비결은

[서울시신청사 건축학 개론] 에너지 효율 24.5%… 1등급 비결은

입력 2012-05-26 00:00
수정 2012-05-26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중유리로 단열 효과 천장에는 태양광 발전 대형정원서 공기 정화

서울시 신청사는 지방자치단체 청사 가운데 유일하게 1등급을 받은 친환경 건물이다. 전체 에너지 소요량의 24.5%를 친환경·신재생 에너지로 자체 충당한다. 국내 건축물로는 최대 규모다. 천장 태양광 발전에서 최대 3억 7000만㎉를 비롯해 16억 1000만㎉에 해당하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조경 및 세정용수로 사용한 뒤 버려지는 빗물이나 허드렛물의 열원을 냉난방에 다시 이용하는 시스템도 있다.

도시기반시설본부 이갑규 시책사업추진단장은 25일 “한옥의 처마 형상을 본떠 여름철 태양 고도가 높을 땐 열을 차단해 시원하게 하는 한편, 겨울철에는 낮은 태양고도를 통해 일사량을 충분히 받을 수 있어 내부공기를 따뜻하게 한다.”고 자랑했다.

하지만 건물 외벽이 모두 유리여서 겨울엔 춥고 여름엔 더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 단장은 “전면 남측 유리벽 내부에 또 하나의 벽을 설치하는 이중 외피(Double skin) 시스템을 도입했다.”면서 “유리벽과 벽 사이에 완충공간을 둬 여름철 더운 공기는 바로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하부 유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가 더운 공기를 지붕으로 밀어내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겨울철엔 하부 유입구 및 상부 배출구를 닫아 자연적으로 발생된 따뜻한 공기를 난방에 사용하게 했다.

1층 에코플라자 내부 유리벽 맞은편 1~7층 높이의 수직벽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스킨답서스, 아이비 등 7만여 포기의 식물들이 자란다. 1600㎡ 규모의 대형 벽면녹화(Green Wall)로 세계 최대 규모다. 이 식물들은 실내공기 정화는 물론 온도 조절, 공기 오염물질 제거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단장은 “두 차례에 걸쳐 시뮬레이션 실시 결과 7~8월 냉방 체감온도 26도, 11~2월엔 난방 체감온도 20도를 기록해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2012-05-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