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금강산 지역 내 남측 부동산을 몰수할 수 있다고 위협한 가운데 정부는 금강산관광 재개 회담을 먼저 제의하지 않을 방침인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현재로서는 북측에 금강산관광 회담을 제의할 계획은 없다”면서 “북한이 금강산 피격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관광객의 신변안전 보장 등에서 진전된 입장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북한의 조사에 응하려는 부동산 소유자들의 방북은 재산권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승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당국자도 “현재까지 북한은 신변안전 및 진상규명에 대해 별다른 변화가 없다”며 “지난 2월8일 실무회담에서 북측에 빨리 이 문제들에 호응하라는 입장을 전했기 때문에 다시 회담을 제안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정부는 금강산관광 회담에 신중한 태도를 취하면서 북측이 실제로 남측 부동산에 대한 몰수 및 입경 제한 등 강경조치에 나설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오는 25일까지 남측 금강산관광 사업자들의 방북을 지켜본 뒤 북측의 태도에 따라 대응방침을 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북한은 18일 금강산관광 지역 내 남측 소유 부동산에 대해 조사하고 다른 사업자와 관광계약을 시작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힌데 이어 19일에는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을 통해 “금강산 관광재개는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정부 당국자는 이날 “현재로서는 북측에 금강산관광 회담을 제의할 계획은 없다”면서 “북한이 금강산 피격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관광객의 신변안전 보장 등에서 진전된 입장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북한의 조사에 응하려는 부동산 소유자들의 방북은 재산권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승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당국자도 “현재까지 북한은 신변안전 및 진상규명에 대해 별다른 변화가 없다”며 “지난 2월8일 실무회담에서 북측에 빨리 이 문제들에 호응하라는 입장을 전했기 때문에 다시 회담을 제안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정부는 금강산관광 회담에 신중한 태도를 취하면서 북측이 실제로 남측 부동산에 대한 몰수 및 입경 제한 등 강경조치에 나설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일단 오는 25일까지 남측 금강산관광 사업자들의 방북을 지켜본 뒤 북측의 태도에 따라 대응방침을 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북한은 18일 금강산관광 지역 내 남측 소유 부동산에 대해 조사하고 다른 사업자와 관광계약을 시작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힌데 이어 19일에는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을 통해 “금강산 관광재개는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