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김해을 출마 정치도리에 안 맞아”
한나라당 홍준표 최고위원은 2일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말한 이익공유제는 노사관계에 적용되는 것이지 대-중소기업 상생과는 무관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정 위원장이 말한 이익공유제는 이윤분배 제도로, 노사간 미리 정해진 일정한 기준에 따라 기업이 종업원에게 임금 외 추가급부로 이윤의 일부를 분배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노사관계와 상관없이 협력사에 이익을 주자고 말하는 것은 현행법에 맞지 않을 뿐더러 세계 어느 나라에도 이런 식의 제도를 채택하는 나라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익의 일부를 협력사에 주자는 식의 주장은 도대체 어떤 법논리를 근거로, 어떤 이유에서 나왔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급진좌파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사회주의의 배급과 다를 바 없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최고위원은 “문제는 이익공유제가 아닌 기술협력제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기술을 탈취하거나 대기업이 납품단가를 깎는 것이 문제”라며 “서민정책특위에서는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해 대-중소기업상생법안을 제출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정 위원장이 이익공유제를 잘못 알고 말했다면 참으로 큰 문제”라며 “중요한 직책에 있는 분이 한국 사회의 근저를 흔드는 발상을 안해줬으면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정 위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초과이익공유제는 대기업 이윤을 빼앗아 중소기업에 나눠주자는, 이른바 반시장적인 또는 사회주의적인 분배정책이 아니며, 대기업 자율로 하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동반성장은 경제 차원을 넘어서, 공정한 사회와 따뜻한 자본주의, 한국 사회의 건강한 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일 것”이라며 “이익공유제는 그러한 취지에서 나온 순수한 제안”이라고 밝혔다.
한편 홍 최고위원은 CBS라디오에 출연, 김태호 전 지사의 김해을 출마설과 관련, “김해을 보궐선거는 ‘박연차 보선’인데, 김 전 총리도 박연차 스캔들로 낙마한 것 아니냐”면서 “이는 정치 도리상 맞지 않다”고 꼬집었다.
또 분당을 보선에 출마한 강재섭 전 대표에 대해 “그는 5공 인물로 만약 공천을 준다면 과거로의 회귀”라며 “그는 당 대표를 하면서 18대 총선 공천시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간 갈등을 심화시킨 책임자”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