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 국방장관은 18일 최근 잇단 육.해.공군 사고와 관련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 드린 점,사과한다”면서 국방부와 각 군에 재발 방지책 마련을 지시했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장관이 오늘 아침 간부회의에서 심각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각 군에 실질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엄중 지시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국방부 차원에서도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필요한 대책을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육군은 전날 경기 여주군 이포대교 남한강에서 발생한 소형 단정 전복사고 때 장병 3명이 사망한 것과 관련,5군단 헌병대장인 임석현 대령을 본부장으로,27명의 수사요원이 참여한 수사본부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육군 관계자는 “오늘 오전 기상을 고려해 현장감식을 하려고 했으나 안개 때문에 지체되고 있다”며 “특히 유가족들이 현장감식 및 조사에 가족 뿐 아니라 민간기관 전문가들의 참여를 희망해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고(故) 이상훈 일병의 외삼촌 정동호 씨는 “군에서는 유가족만 현장감식에 참여하라고 하는데 그러기에는 불안해서 민간전문가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며 “오늘 전문기관의 자문을 구하고 나서 입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고 원인 및 결과는 사고현장 감식이 끝나야 하기 때문에 19일이나 가능할 것”이라며 “사망자 3명의 빈소는 국군수도병원에 마련됐으며 중상자인 신종헌 하사는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망자 3명은 단정이 급류에 휘말리면서 전복되자 물에 빠져 500m~1㎞를 떠내려가다가 의식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사고 단정 이외 1척의 단정이 더 있었으나 사고 지점과 1㎞ 이상 떨어져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구조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육군은 전했다.
사고 지점에는 호국훈련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아 병력들이 없었으며 평소 도하훈련을 했던 곳인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은 이날부터 안장식 때까지 애도기간으로 정하고,사이버분향소 설치와 조기게양,근조 리본 달기,영외 회식 자제 등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고인들을 추모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장관이 오늘 아침 간부회의에서 심각한 유감을 표명하면서 각 군에 실질적인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엄중 지시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국방부 차원에서도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필요한 대책을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육군은 전날 경기 여주군 이포대교 남한강에서 발생한 소형 단정 전복사고 때 장병 3명이 사망한 것과 관련,5군단 헌병대장인 임석현 대령을 본부장으로,27명의 수사요원이 참여한 수사본부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육군 관계자는 “오늘 오전 기상을 고려해 현장감식을 하려고 했으나 안개 때문에 지체되고 있다”며 “특히 유가족들이 현장감식 및 조사에 가족 뿐 아니라 민간기관 전문가들의 참여를 희망해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고(故) 이상훈 일병의 외삼촌 정동호 씨는 “군에서는 유가족만 현장감식에 참여하라고 하는데 그러기에는 불안해서 민간전문가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며 “오늘 전문기관의 자문을 구하고 나서 입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고 원인 및 결과는 사고현장 감식이 끝나야 하기 때문에 19일이나 가능할 것”이라며 “사망자 3명의 빈소는 국군수도병원에 마련됐으며 중상자인 신종헌 하사는 의식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망자 3명은 단정이 급류에 휘말리면서 전복되자 물에 빠져 500m~1㎞를 떠내려가다가 의식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사고 단정 이외 1척의 단정이 더 있었으나 사고 지점과 1㎞ 이상 떨어져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구조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육군은 전했다.
사고 지점에는 호국훈련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아 병력들이 없었으며 평소 도하훈련을 했던 곳인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은 이날부터 안장식 때까지 애도기간으로 정하고,사이버분향소 설치와 조기게양,근조 리본 달기,영외 회식 자제 등 불의의 사고로 순직한 고인들을 추모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